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리사/주택관리사 회계원리

📘 결산수정분개 및 오류정정 – 핵심 요약 (주택관리사보 1차 회계원리)

by 보나삶한걸음 2025. 5. 22.

 

결산수정분개 이미지\
결산수정분개

1. 결산수정분개란?

회계기간 말에 정확한 수익과 비용 인식을 위해 조정하는 분개를 말함.

✅ 주된 목적:

  • 정확한 기말 잔액 반영
  • 재무제표 신뢰성 확보

✅ 주요 항목:

  • 선급비용 / 미지급비용
  • 미수수익 / 선수수익
  • 감가상각비
  • 기말 재고자산 조정
  • 대손충당금 설정

2. 오류정정 분개란?

✅ 회계처리 중 실수(누락, 과다, 과소, 전기 오류 등)를
발견 시 올바르게 수정하는 분개를 의미함.

  • 발생 시점 구분
    • 당기 오류: 즉시 정정
    • 전기 오류: 이익잉여금을 이용하여 정정

✅ 오류 유형 예시:

  • 이중 기입, 금액 착오, 차변/대변 반대 처리, 누락
  • 자산을 비용으로 처리하거나 반대로 처리하는 오류

3. 대표적인 결산수정 항목 예시

항목수정 전결산수정 분개 예

 

항목 수정 전 결산수정 분개 예
선급비용 전액 비용 처리 (자산) 선급비용 / (비용) 관련 계정
미지급비용 누락 (비용) 관련 계정 / (부채) 미지급비용
감가상각비 누락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누계액
기말재고조정 누락 기말재고 / 재고자산변동
 

4. 시험 포인트 요약 🔍

✅ 결산수정분개는 재무제표 작성 직전 필수 절차
✅ 전기 오류는 이익잉여금 계정을 통해 수정
✅ 수정분개는 차변·대변을 모두 바르게 잡아야 함
✅ 오류정정은 금액 착오, 방향 착오, 누락 순서로 자주 출제됨
차변과 대변이 일치하더라도 오류가 없다고 할 수 없다


✅ 객관식 예상문제 5제 – 5지선다형


문제 1

결산수정분개를 수행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① 세금 계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② 이익잉여금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③ 회계기간 동안의 모든 거래를 반복 기록하기 위해
④ 재무제표 작성 전, 정확한 회계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⑤ 과거의 거래를 삭제하기 위해

더보기

정답: ④
해설: 결산수정분개는 정확한 수익·비용 인식을 통해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목적이 있다.


문제 2

다음 중 결산수정분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감가상각비 인식
② 미수이자 수익 인식
③ 대손충당금 설정
④ 전기 오류 수정
⑤ 선급보험료 조정

더보기

정답: ④
해설: 전기 오류 수정은 오류정정이며, 결산수정분개와는 구별된다.


문제 3

이전 회계연도의 비용이 누락된 것을 현재 발견한 경우, 오류 정정 분개로 옳은 것은?
① 비용 / 자산
② 비용 / 부채
③ 비용 / 이익잉여금
④ 자산 / 수익
⑤ 이익잉여금 / 비용

더보기

정답: ⑤
해설: 전기 오류는 이익잉여금을 이용하여 정정한다. 따라서 이익잉여금 / 비용이 정답이다.


문제 4

다음 중 감가상각비를 결산수정분개로 반영하는 분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감가상각누계액 / 감가상각비
②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누계액
③ 감가상각비 / 자산
④ 감가상각누계액 / 자산
⑤ 자산 / 감가상각비

더보기

정답: ②
해설: 감가상각비(비용)를 인식하고, 감가상각누계액(자산의 평가감)으로 기록한다.


문제 5

다음 중 오류정정의 예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선급비용을 기말에 조정한 경우
② 감가상각을 분개한 경우
③ 전기 수익을 비용으로 잘못 처리한 경우
④ 매출채권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한 경우
⑤ 기말 재고자산을 계상한 경우

더보기

정답: ③
해설: 전기 수익을 비용으로 처리한 것은 회계처리 오류로, 전형적인 오류정정 사례이다.


📊 요약 정리표

항목 설명 시험 포인트
결산수정분개 기말 조정, 정확한 수익·비용 인식 감가상각, 선급·미수·미지급 등
오류정정 회계 실수에 대한 수정 전기 오류는 이익잉여금 이용
조정 필요 항목 선급비용, 미지급비용, 대손충당금, 감가상각 등 수정분개 형식 출제 빈도 높음
정정 이유 누락, 과소/과대 기입, 방향 착오 등 실제 분개문제 형태로 자주 출제
 

 


✅ 이 단원은 계산보다는 분개 이해력과 개념 적용력이 시험에서 중요합니다.
✅ 출제 시 차변·대변 순서를 바꾸는 ‘함정’도 많으므로, 문장 단위로 반복 학습이 효과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