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리사/기출문제

주택관리사 22회 1차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by 보나삶한걸음 2023. 4. 24.
반응형

2019년 주택관리사 22회 1차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문제

정답 가리기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 "정답 및 해설보기" 또는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설이 없는 문항이 있을 수 있지만 수시로 추가됩니다. 스마트폰에서 짜투리 시간에 공부하기 참 좋습니다. 꾸준히 반복해서 풀어 보면서 익히시면 유형을 파악할 수 있어서 실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주 방문해 보세요.


공동주택 시설개론(40분항)

1.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커튼월은 공장생산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성하는 비내력 외벽이다.
  • 조적구조는 벽돌, 석재, 블록, ALC 등과 같은 조적재를 결합재 없이 쌓아 올려 만든 구조이다.
  • 강구조란 각종 형강과 강판을 볼트, 리벳, 고력볼트, 용접 등의 접합방법으로 조립한 구조이다.
  • 기초란 건축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시키는 구조 부분이다.
  •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로 결합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 철근은 인장력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구조이다.
더보기
정답: ② 
조적구조는 벽돌 등과 같이 조적재를 결합재를 사용하여 쌓아 올려 만든 구조이다.
 
2. 건축물의 구조설계에 적용하는 하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 ②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 활하중은 부재의 영향면적이 30m²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 ③ 고정하중은 점유ㆍ사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하중으로, 용도별 최소값을 적용한다.
  • ④ 풍하중에서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에 반비례하고 설계풍속에 비례한다.
  • ⑤ 지진하중 산정 시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지진하중은 증가한다.
더보기
정답: 
②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 활하중은 부재의 영향면적이 36m²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③ 활하중은 점유ㆍ사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의 하중이어야 한다.
④ 풍하중에서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에 비례하고 설계풍속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⑤ 지진하중 산정 시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지진하중은 감소한다.
 

3. 벽 또는 일련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띠 모양으로 하여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는 기초의 형식은?

  • ① 병용기초
  • ② 독립기초
  • ③ 연속기초
  • ④ 복합기초
  • ⑤ 온통기초
더보기
정답: ③ 
연속기초(줄기초, continuous footing): 벽, 기둥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기초를 의미한다. 기초가 줄줄이 연속적으로 있어서 줄기초, 또는 띠모양으로 연속으로 있어 연속기초라 한다.

독립기초 (independent footing): 기둥 등의 하중을 1개의 기초로 받는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온통기초(매트기초, mat foundation): 기초 슬래브를 광범위한 부분에 걸쳐 두는 경우의 기초이다. 고층건물이나, 연약지반, 지하수위가 높은 지하실 바닥에 유리하다.
파일기초(말뚝기초, pile foundation):  튼튼한 지반이 깊이 있어서 직접 기초가 안 닿을 때 말뚝에 의하여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초이다. 하부 암반까지 말뚝을 박는다. 고층건물이나, 중량 건물에 쓰인다.

 

4. 건축물에 발생하는 부등침하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서로 다른 기초 형식의 복합시공
  • ② 풍화암 지반에 기초를 시공
  • ③ 연약지반의 분포 깊이가 다른 지반에 기초를 시공
  • ④ 지하수위 변동으로 인한 지하수위의 상승
  • ⑤ 증축으로 인한 하중의 불균형
더보기
정답: ② 

 

5. 철근콘크리트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콘크리트와 철근은 온도에 의한 선팽창계수가 비슷하여 일체화로 거동한다.
  • ② 알칼리성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철근의 부식을 방지한다.
  • ③ 이형철근이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강도가 크다.
  • ④ 철근량이 같을 경우, 굵은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는 철근을 사용하는 것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에 유리하다.
  • ⑤ 건조수축 또는 온도변화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을 수축ㆍ온도철근이라 한다.
더보기
정답: ④ 
동일한 철근량일 경우, 가는 철근을 다수 사용하는 것이 부착력이 우수하다.

 

6. 미장공사의 품질 요구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마감면이 평편도를 유지해야 한다.
  • ② 필요한 부착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 ③ 편리한 유지관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 ④ 주름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 ⑤ 균열의 폭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더보기
정답: ⑤ 
균열이 없어야 한다.

 

7. 타일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모르타르는 건비빔한 후 3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물을 부어 반죽한 후 1시간 이내에 사용 한다.
  • ㄴ. 타일 1장의 기준치수는 타일치수와 줄눈치수를 합한 것으로 한다. 
  • ㄷ.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시멘트 가루를 뿌 리면 타일의 접착력이 좋아진다. 
  • ㄹ. 벽타일 압착 붙이기에서 타일의 1회 붙임면적은 모르타르의 경화속도 및 작업성을 고려하여 1.2m² 이하로 한다.
  • ① ㄱ, ㄴ
  • ② ㄱ, ㄷ
  • ③ ㄷ, ㄹ
  • ④ ㄱ, ㄴ, ㄹ
  • ⑤ ㄴ, ㄷ, ㄹ
더보기
정답: ④ 
타일을 붙이는 모르타르에 시멘트가루를 뿌리면 수축이 달라져서 타일이 떨어지기 쉬우며 백화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시멘트가루를 뿌리면 안 된다.

 

8. 문 위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문을 열면 자동적으로 조용히 닫히게 하는 장치로 피스톤 장치가 있어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창호 철물은?
  • ① 도어 체크
  • ② 플로어 힌지
  • ③ 레버토리 힌지
  • ④ 도어 스톱
  • ⑤ 크리센트
더보기
정답: 
② 플로어 힌지 -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된 여닫이 문에서  바닥에 힌지를 매설하여, 90도 이상 열었을 때는 멈추어 있고 그 이하로 열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만들어진 힌지.
③ 레버토리 힌지 - 공중화장실, 공중전화박스 등에서 사용하는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는 힌지.
④ 도어 스톱 - 여닫이 문에서 문이 벽체와 부딛치지 않도록 하는 장치
⑤ 크리센트 - 미석이 문에서 잠금장치, 오르내리창에서 고정장치
 
9. 지붕 및 홈통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지붕의 물매가 1/6보다 큰 지붕을 평지붕이라고 한다.
  • ② 평잇기 금속지붕의 물매는 1/4 이상이어야 한다.
  • ③ 지붕 하부 데크의 처짐은 경사가 1/50 이하의 경우에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한 1/120 이내이어야 한다.
  • ④ 처마홈통의 이음부는 겹침 부분이 최소 25mm 이상 겹치도록 제작하고 연결철물은 최대 60mm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 고정한다.
  • ⑤ 선홈통은 최장 길이 3,000mm 이하로 제작ㆍ설치한다.
더보기
정답: ⑤ 
① 지붕의 물매가 1/6 이하인 지붕을 평지붕이라고 한다.
② 평잇기 금속지붕의 물매는 1/2 이상이어야 한다.
③ 지붕 하부 데크의 처짐은 경사가 1/50 이하의 경우에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한 1/240 이내이어야 한다.
④ 처마홈통의 이음부는 겹침 부분이 최소 30mm 이상 겹치도록 제작하고 연결철물은 최대 50mm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 고정한다.

 

10. 다음은 공사비 구성의 분류표이다. ( )에 들어갈 항목으로 옳은 것은?
  • ① 공통경비
  • ② 직접경비
  • ③ 직접공사비
  • ④ 간접경비
  • ⑤ 현장관리비
더보기
정답: ③ 
공사원가는 간접공사비와 직접공사비로 구성된다.

 

11.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보 및 기둥의 측면 거푸집은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5MPa 이상일 때 해체할 수 있다.
  • ②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은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한다.
  • ③ 콘크리트 혼합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한도는 외기온이 25℃ 미만에서 120분, 25℃ 이상에서는 90분으로 한다.
  • ④ VH(Vertical Horizontal) 분리타설은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수평부재를 나중에 타설하는 공법이다.
  • ⑤ 거푸집의 콘크리트 측압은 슬럼프가 클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부배합일수록 크다.
더보기
정답: ⑤ 
⑤ 거푸집의 콘크리트 측압은 슬럼프가 클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부배합일수록 크다.

 

12.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화반응으로 생긴 수산화칼슘
  • ② 기상작용으로 인한 동결융해
  • ③ 부식성 화학물질과의 반응으로 인한 화학적 침식
  • ④ 알칼리 골재반응
  • ⑤ 철근의 부식
더보기
정답: 
① 수화반응으로 생긴 수산화칼슘은 
⑤ 철근의 부식 - 공기에 노출될 경우 부식될 수 있다.

 

13. 철골구조의 장점 및 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강재는 재질이 균등하며, 강도가 커서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건물의 중량이 가볍다.
  • ② 장경간 구조물이나 고층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다.
  • ③ 시공정밀도가 요구되어 공사기간이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길다.
  • ④ 고열에 약해 내화설계에 의한 내화피복을 해야 한다.
  • ⑤ 압축력에 대해 좌굴하기 쉽다.
더보기
정답: ③ 
③ 철골구조의 공사기간은 양생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짧다.

 

14. 철골구조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볼트접합은 가설건축물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주요 구조부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② 언더 컷은 약한 전류로 인해 생기는 용접 결함의 하나이다.
  • ③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를 플럭스라 한다.
  • ④ 고장력볼트 접합은 응력집중이 적으므로 반복응력에 강하다.
  • ⑤ 고장력볼트 마찰접합부의 마찰면은 녹막이칠을 하지 않는다.
더보기
정답: ② 
② 언더 컷은 과다 전류로 인해 모재가 녹아 융착금속이 채워지지 않아 생기는 용접 결함의 하나이다.

 

15. 조적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치장줄눈의 깊이는 1cm를 표준으로 한다.
  • ② 공간쌓기의 목적은 방습, 방음, 단열, 방한, 방서이며 공간폭은 1.0B 이내로 한다.
  • ③ 벽돌의 하루 쌓기높이는 최대 1.8m까지 한다.
  • ④ 아치쌓기는 조적조에서 문꼴 너비가 1.5m 이하일 때는 평아치로 해도 좋다.
  • ⑤ 조적조의 2층 건물에서 2층 내력벽의 높이는 4m 이하이다.
더보기
정답: ⑤ 
치장줄눈의 깊이는 6mm를 표준으로 한다. ② 공간쌓기의 목적은 방습, 방음, 단열, 방한, 방서이며 공간폭은 50 ~ 70 mm 정도로 한다.③ 벽돌의 하루 쌓기높이는 최대 1.5m까지 한다.④ 아치쌓기는 조적조에서 문꼴 너비가 1m 이하일 때는 평아치로 해도 좋다.

 

16. 일반유리를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찬 공기를 약하게 불어주어 냉각하여 만든 유리로 내풍압 강도가 우수하여 건축물의 외벽, 개구부 등에 사용되는 유리는 무엇인가?
  • ① 배강도유리
  • ② 강화유리
  • ③ 망입유리
  • ④ 접합유리
  • ⑤ 로이유리
더보기
정답: 

 

17. 아스팔트 방수공사의 시공순서로 옳은 것은?
  • ㄱ. 바탕면 처리 및 청소
  • ㄴ. 아스팔트 바르기
  • ㄷ. 아스팔트 프라이머 바르기
  • ㄹ. 아스팔트 방수지 바르기
  • ㅁ. 방수층 누름
  • ① ㄱ-ㄴ-ㄷ-ㄹ-ㅁ
  • ② ㄱ-ㄴ-ㄹ-ㄷ-ㅁ
  • ③ ㄱ-ㄷ-ㄴ-ㄹ-ㅁ
  • ④ ㄱ-ㄷ-ㄹ-ㄴ-ㅁ
  • ⑤ ㄱ-ㄹ-ㄴ-ㄷ-ㅁ
더보기
정답: ③ 

 

18. 방습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방수모르타르의 바름 두께 및 횟수는 정한 바가 없을 때 두께 15mm 내외의 1회 바름으로 한다.
  • ② 방습공사 시공법에는 박판시트계, 아스팔트계, 시멘트 모르타르계, 신축성 시트계 등이 있다.
  • ③ 아스팔트 펠트, 비닐지의 이음은 100mm 이상 겹치고 필요할 때는 접착제로 접착한다.
  • ④ 방습도포는 첫 번째 도포층을 12시간 동안 양생한 후에 반복해야 한다.
  • ⑤ 콘크리트, 블록, 벽돌 등의 벽체가 지면에 접하는 곳은 지상 100∼200mm 내외 위에 수평으로 방습층을 설치한다.
더보기
정답: ④ 
④ 방습도포는 첫 번째 도포층을 24시간 동안 양생한 후에 반복해야 한다.

 

19. 도장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유성페인트는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용 도료로 널리 사용된다.
  • ② 철재면 바탕만들기는 일반적으로 가공장소에서 바탕재 조립 전에 한다.
  • ③ 기온이 10℃ 미만이거나 상대습도가 80%를 초과할 때는 도장작업을 피한다.
  • ④ 뿜칠 시공 시 약 4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뿜칠 너비의 1/4 정도가 겹치도록 한다.
  • ⑤ 롤러도장은 붓도장보다 도장속도가 빠르며 일정한 도막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더보기
정답: ② 
유성페인트는 알칼리에 약해서 콘크리트에 사용할 수 없다. 실내 콘크리트에는 수성페인트, 실외 콘크리트에는 에멀션 페인트를 시공한다.

③ 기온이 5℃ 미만이거나 상대습도가 85%를 초과할 때는 도장작업을 피한다.
④ 뿜칠 시공 시 약 30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뿜칠 너비의 1/3 정도가 겹치도록 한다.
⑤ 롤러도장은 붓도장보다 도장속도가 빠르며 일정한 도막두께를 유지하기 어렵다.

 

20. 화단벽체를 조적으로 시공하고자 한다. 길이 12m, 높이 1m, 두께 1.5B(내부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0B, 외부 붉은 벽돌 0.5B)로 쌓을 때 콘크리트(시멘트) 벽돌과 붉은 벽돌의 소요량은? (단, 벽돌의 크기는 표준형(190×90×57mm)으로 하고, 줄눈은 10mm로 하며, 소수점 이하는 무조건 올림으로 한다.)
  • ①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945매, 붉은 벽돌: 1,842매
  • ②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842매, 붉은 벽돌: 927매
  • ③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842매, 붉은 벽돌: 945매
  • ④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878매, 붉은 벽돌: 927매
  • ⑤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878매, 붉은 벽돌: 945매
더보기
정답: ④ 
시멘트 벽돌 : 12 x 1 x 149 x 1.05 = 1878
붉은 벽돌 : 12 x 1 x 75 x 1.03 = 927

 

21. 건축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① 배관 내를 흐르는 물과 배관 표면과의 마찰력은 물의 속도에 반비례한다.
  • ② 물체의 열전도율은 그 물체 1kg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 ③ 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량 중, 공기의 온도에 관한 것이 잠열, 습도에 관한 것이 현열이다.
  • ④ 동일한 양의 물이 배관 내를 흐를 때 배관의 단면적이 2배가 되면 물의 속도는 1/4배가 된다.
  • ⑤ 실외의 동일한 장소에서 기압을 측정하면 절대압력이 게이지압력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
더보기
정답: ⑤ 
① 배관 내를 흐르는 물과 배관 표면과의 마찰력은 물의 속도에 비례한다.
 열 전도율이란 열이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전달되는 정도의 차이를 말한다. 물체 1kg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비열이다.
③ 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량 중, 공기의 온도에 관한 것이 현열, 습도에 관한 것이 잠열이다. 현열은 상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온도가 변화되는 열이고, 잠열은 온도는 변화되지 않는데 상변화가 일어나는 열이다. 즉, 1기압 100℃에서 열을 계속 가하면 온도는 변화되지 않는데 수증기량이 증가함으로써 습도가 올라간다. 이때 공급되는 열이 잠열이다.
④ 동일한 양의 물이 배관 내를 흐를 때 배관의 단면적이 2배가 되면 물의 속도는 1/2배가 된다.

 

22. 급수설비의 수질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저수조에 설치된 넘침관 말단에는 철망을 씌워 벌레 등의 침입을 막는다.
  • ② 물탱크에 물이 오래 있으면 잔류염소가 증가하면서 오염 가능성이 커진다.
  • ③ 크로스커넥션이 이루어지면 오염 가능성이 있다.
  • ④ 세면기에는 토수구 공간을 확보하여 배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 ⑤ 대변기에는 버큠브레이커(vacuum breaker)를 설치하여 배수의 역류를 방지한다.
더보기
정답: ② 
물탱크에 물이 오래 있으면 잔류염소가 감소하면서 오염 가능성이 커진다.

 

23. 고가수조방식에서 양수펌프의 전양정이 50m이고, 시간당 30m³를 양수할 경우의 펌프 축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60%로 한다.)
  • ① 5.2
  • ② 6.8
  • ③ 8.6
  • ④ 10.5
  • ⑤ 12.3
더보기
정답: ② 
펌프 축동력 = WQH / 6,120E = 1000 x 30 / 60 x 50 / (6120 x 0.6) = 6.8 kW
W : 단위중량 (kg/m³) 즉, 1000(kg/m³)
Q : 양수량(m³/min)
H : 펌프의 전양정(m)
E : 펌프의 효율(%)

 

24. 다음 중 고층건물에서 급수조닝을 하는 이유와 관련 있는 것은?
  • ① 엔탈피
  • ② 쇼트서킷
  • ③ 캐비테이션
  • ④ 수격작용
  • ⑤ 유인작용
더보기
정답: ④ 
③ 케비테이션 - 공동현상, 배관 내에 빈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

 

25. 급탕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간접가열식은 직접가열식보다 수처리를 더 자주 해야 한다.
  • ② 유량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역환수방식을 적용한다.
  • ③ 동일한 배관재를 사용할 경우 급탕관은 급수관보다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
  • ④ 개별식은 중앙식에 비해 배관에서의 열손실이 작다.
  • ⑤ 일반적으로 개별식은 단관식, 중앙식은 복관식 배관을 사용한다.
더보기
정답: 
① 직접가열식은 간접가열식보다 수처리를 더 자주 해야 한다. 직접가열식에서 스케일이 많이 발생하므로. 

 

26. 배수설비 트랩의 일반적인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구트랩 - 바닥 배수
  • ② S트랩 - 소변기 배수
  • ③ U트랩 - 가옥 배수
  • ④ P트랩 - 세면기 배수
  • ⑤ 드럼트랩 - 주방싱크 배수
더보기
정답: 
바닥용 트랩(벨트랩 이외의 바닥용 트랩) - 바닥 배수

 

27. 배수 및 통기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① 배수관 내에 유입된 배수가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낙하하면서 증가하던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때의 속도를 종국유속이라 한다.
  • ② 도피통기관은 배수수직관의 상부를 그대로 연장하여 대기에 개방한 통기관이다.
  • ③ 루프통기관은 고층건물에서 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관을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 ④ 신정통기관은 모든 위생기구마다 설치하는 통기관이다.
  • ⑤ 급수탱크의 배수방식은 간접식보다 직접식으로 해야 한다.
더보기
정답: 
② 신정통기관은 배수수직관의 상부를 그대로 연장하여 대기에 개방한 통기관이다. ③ 결합통기관은 고층건물에서 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관을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④ 각개통기관은 모든 위생기구마다 설치하는 통기관이다. ⑤ 급수탱크의 배수방식은 간접배수방식으로 해야 한다.

 

28. 위생기구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위생기구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흡수성, 흡습성이 없어야 한다.
  • ② 위생도기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파손 가능성이 있다.
  • ③ 유닛화는 현장 공정이 줄어들면서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 ④ 블로아웃식 대변기는 사이펀볼텍스식 대변기에 비해 세정음이 작아 주택이나 호텔 등에 적합하다.
  • ⑤ 대변기에서 세정밸브방식은 연속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무소, 학교 등에 적합하다.
더보기
정답: ④ 
④ 블로아웃식 대변기는 사이펀볼텍스식 대변기에 비해 세정음이 커서 주택이나 호텔 등에는 부적합하다.

 

29. 도시가스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가스의 공급압력은 고압, 중압, 저압으로 구분되어 있다.
  • ② 건물에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고자 할 때는 정압기를 이용한다.
  • ③ 가스계량기와 화기(그 시설 안에서 사용하는 자체화기는 제외)는 2m 이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 ④ 압력조정기의 안전점검은 1년에 1회 이상 실시한다.
  • ⑤ 가스계량기와 전기개폐기와의 거리는 30c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더보기
정답: ⑤ 
가스계량기와 전기개폐기와의 거리는 60c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30.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상 유도등의 전원에 관한 기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이 순서대로 옳은 것은?
비상전원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1. 축전지로 할 것
2. 유도등을 (  ㄱ   )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특정대상소방물의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유도등을 (  ㄴ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 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한다.
   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사의 층
   나.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소매시장·여객자동차터미널·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 ① ㄱ: 10, ㄴ: 20
  • ② ㄱ: 15, ㄴ: 30
  • ③ ㄱ: 15, ㄴ: 60
  • ④ ㄱ: 20, ㄴ: 30
  • ⑤ ㄱ: 20, ㄴ: 60
더보기
정답: ⑤ 

 

31. 증기난방 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① 감압밸브
  • ② 응축수탱크
  • ③ 팽창탱크
  • ④ 응축수펌프
  • ⑤ 버킷트랩
더보기
정답:
팽창탱크는 온수난방 설비의 구성요소
팽창탱크는 물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체적에 대응하기 위해사용되며, 안전밸브 역할을 수행함.

 

32. 전기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변압기 1대의 용량산정은 건축물 내의 설치장소에 따라 건축의 장비 반입구, 반입통로, 바닥강도 등을 고려한다.
  • ② 제1종 접지공사 시 접지선으로 공칭단면적 6mm²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한다.
  • ③ 공동주택의 세대당 부하용량은 단위세대의 전용면적이 85m² 이하의 경우 3kW로 한다.
  • ④ 전압구분상 직류의 고압기준은 750V 초과 7,000V 이하이다.
  • ⑤ 전동기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콘덴서를 설치한다.
더보기
정답: ③ 
③ 공동주택의 세대당 부하용량은 3kW이상이어야 하며, 세대의 전용면적이 60m² 이상의 경우에는10m²초과시마다 0.5kW를 더한 값으로 한다.
④ 2021년 1월 1일부로 고압의 기준이 변경됨, 직류(DC): 1.5kV 초과 7.0kV 이하, 교류(AC):10,kV 초과 7.0kV  이하 

 

33. 난방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보일러의 정격출력은 난방부하와 급탕부하의 합이다.
  • ② 노통연관 보일러는 증기나 고온수 공급이 가능하다.
  • ③ 표준상태에서 증기방열기의 표준방열량은 약 756W/m²이다.
  • ④ 온수방열기의 표준방열량 산정시 실내온도는 18.5℃를 기준으로 한다.
  • ⑤ 지역난방용으로 수관식 보일러를 주로 사용한다.
더보기
정답: 
보일러의 정격출력 = 난방부하 + 급탕부하 + 배관(손실)부하 + 예열부하

 

3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배선공사는?
- 굴곡이 많은 장소에 적합하다.
- 기계실 등에서 전동기로 배선하는 경우나 건물의 확장 부분등에 배선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 ① 합성수지몰드 공사
  • 플로어덕트 공사
  • ③ 가요전선관 공사
  • 금속몰드 공사
  • ⑤ 버스덕트 공사
더보기
정답:

 

35. 난방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증기난방은 온수난방에 비해 열의 운반능력이 크다.
  • ②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량 조절이 용이하다.
  • ③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짧다.
  • ④ 복사난방은 바닥구조체를 방열체로 사용할 수 있다.
  • ⑤ 복사난방은 대류난방에 비해 실내온도 분포가 균등하다.
더보기
정답:
③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다.

 

3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급탕배관이나 벽이나 바닥을 통과할 경우 온수 온도 변화에 따른 배관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벽(바닥)과 배관 사이에 설치하여 벽(바닥)과 배관을 분리시킨다.
  • ① 슬리브
  • ② 공기배기밸브
  • ③ 신축이음
  • ④ 서모스탯
  • ⑤ 열감지기
더보기
정답: 

 

37. 엘리베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교류 엘리베이터는 저속도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 ②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 이상일 경우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고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기기이다.
  • ③ 과부하 계전기는 전기적인 안전장치에 해당된다.
  • ④ 기어레스식 감속기는 직류 엘리베이터에 사용된다.
  • ⑤ 옥내에 설치하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6m² 이상으로 해야 한다.
더보기
정답:

 

38.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상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는 경우 홈네트워크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월패드
  • ② 단지서버
  • ③ 예비전원장치
  • ④ 홈게이트웨이
  • ⑤ 원격검침시스템
더보기
정답: ⑤ 

 

39. 공동주택에서 난방설비, 급수설비 등의 제어 및 상태감시를 위해 사용되는 현장제어 장치는?
  • ① SPD
  • ② PID
  • ③ VAV
  • ④ DDC
  • ⑤ VVVF
더보기
정답: ④ 
DDC(Direct Digital Control)
SPD(Surge Protector Devide)
PID(Proportinal 비례, Integral 적분, Differential 미분)
VAV(Variable Air Volume) : 가변풍량 시스템. 공조방식에 사용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 전기 시스템.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4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소방시설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비상콘센트설비, 연소방지설비는 소화활동설비이다.
  • ② 연결송수관설비,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용수설비이다.
  • ③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는 소화설비이다.
  • ④ 시각경보기, 자동화재속보설비는 경보설비이다.
  • ⑤ 인명구조기구, 비상조명등은 피난구조설비이다.
더보기
정답: ②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속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