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리사/기출문제

주택관리사 25회 1차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by 보나삶한걸음 2023. 3. 15.
반응형

쿠팡파트너스 문구 이미지
주택관리사 25회 시설개론 이미지

2022년 주택관리사 25회 1차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문제 풀이

정답 가리기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 "정답 및 해설보기" 또는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정답과 간단한 해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설이 없는 문항이 있을 수 있지만 수시로 추가됩니다. 스마트폰에서 짜투리 시간에 공부하기 참 좋습니다. 꾸준히 반복해서 풀어 보면서 익히시면 유형을 파악할 수 있어서 실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주 방문해 보세요.


공동주택시설개론 (40문항)

 

1. 지진하중 산정에 관련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반응수정계수
  • ㄴ. 고도분포계수
  • ㄷ. 중요도계수
  • ㄹ. 가스트영향계수
  • ㅁ. 밑면전단력
  • ① ㄱ, ㄴ, ㄹ
  • ② ㄱ, ㄷ, ㄹ
  • ③ ㄱ, ㄷ, ㅁ
  • ④ ㄴ, ㄷ, ㅁ
  • ⑤ ㄷ, ㄹ, ㅁ
더보기
정답 ③
ㄱ. 반응수정계수 : 건물의 뼈대의 강성, 반응수정계수가 크면 지진하중은 적다.
ㄴ. 고도분포계수는 고도에 따라 대응되는 물리량의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계수 인데, 대응되는 항목, 그 뭔가가 빠져 있다. 즉, 단독으로 고도분포계수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풍속고도분포계수와 같이 나와 있다면 고도에 따라 풍속의 변화를 나타낸 계수일 것이다.
ㄹ. 가스트영향계수는 바람의 난류로 인행 발생하는 구조물의 동적거동성분을 나타내는 계수
ㅁ. 건물의 중량과 밑면전단력은 비례관계이다.

 

2. 기초구조 및 터파기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서로 다른 종류의 지정을 사용하면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 ② 지중보는 부등침하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③ 2개의 기둥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1개의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방식의 기초를 연속기초라고 한다.
  • ④ 웰포인트 공법은 점토질 지반의 대표적인 연약 지반 개량공법이다.
  • ⑤ 중앙부를 먼저 굴토하고 구조체를 설치한 후, 외주부를 굴토하는 공법을 아일랜드컷공법이라 한다.
더보기
정답 ⑤
① 동일기초 동일지정을 써야 한다.
② 부등침하 방지대책 - 지중보를 설치해야 한다.
③ 2개의 기둥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1개의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방식의 기초를 복합기초라고 한다.
④ 웰포인트 공법은 사질지반 개량공법이다.

 

3. 철근콘크리트구조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인장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 ② SD400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 N/mm이다.
  • ③ 스터럽은 보의 사인장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 ④ 나선철근은 기둥의 휨내력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한다.
  • ⑤ 1방향 슬래브의 경우 단변방향보다 장변방향으로 하중이 더 많이 전달된다.
더보기
정답 ③
①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압축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압축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② SD400의 항복강도는 400MPa입니다. 이것을 뉴톤 단위로 바꾸면 400 N/mm²  입니다. 문제의 지문을 잘 보면 400 N/mm 로 적혀 있어서 단위가 잘못되었네요. 
④ 주철근의 위치 고정을 목적으로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이 사용된다. 이들 철근은 기둥의. 연성 및 전단내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횡방향 철근이라고 한다.
⑤ 1방향 슬래브의 경우 하중의 90%이상이 단변방향으로 전달된다.

 

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물의 양에 따른 반죽의 질기를 컨시스턴시(consistency)라고 한다.
  • ②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증가한다.
  • ③ 골재의 입도 및 입형은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
  • ④ 물시멘트비가 커질수록 블리딩(bleeding)의 양은 증가한다.
  • ⑤ 콘크리트의 온도는 공기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더보기
정답 ⑤
⑤ 온도가 높으면 열응력에 의한 팽창압력이 작용해서 공극이 작아지고, 온도가 낮으면 재료가 응축,수축하므로 공극이 만들어지는 공간이 증가하게 됩니다.

 

5. 철근의 정착 및 이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D35 철근은 인장 겹침 이음을 할 수 없다.
  • ② 기둥의 주근은 큰 보에 정착한다.
  • ③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 ④ 보의 주근은 슬래브에 정착한다.
  • ⑤ 갈고리로 가공하는 것은 인장과 압축 저항에 효과적이다.
더보기
정답 ③
① D35 를 초과하는 철근은 인장 겹침 이음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D35는 겹칩 이음이 가능하다.
② 기둥의 주근이 기초에 정착(매립)됩니다.
④ 큰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하고, 작은보의 주근은 큰보에 정착합니다.
⑤ 갈고리는 인장에 강한 콘크리트를 만듭니다. 압축을 받는 철근은 갈고리를 만들지 않는다.

 

6. 철골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고장력볼트를 먼저 시공한 후 용접을 한 경우, 응력은 용접이 모두 부담한다.
  • ㄴ. H형강 보의 플랜지(flange)는 휨모멘트에 저항하고, 웨브(web)는 전단력에저항한다.
  • ㄷ. 볼트 접합은 구조 안전성, 시공성 모두 우수하기 때문에 구조내력상 주요부분 접합에 널리 적용된다.
  • ㄹ. 철골보와 콘크리트슬래브 연결부에는 쉬어커넥터(shear connector)가 사용된다.
  • ① ㄱ, ㄷ
  • ② ㄱ, ㄹ
  • ③ ㄴ, ㄷ
  • ④ ㄴ, ㄹ
  • ⑤ ㄷ, ㄹ
더보기
정답 ④
ㄱ. 볼트와 용접부위 모두 응력을 받는다.
ㄷ. 진동 충격 또는 반복응력을 받는 접합부에는 볼트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구조내력상 주요 부분에는 볼트 접합을 사용하지 않는다. 볼트 접합은 경미한 구조재나 가설건물 또는 용접이나 리벳치기를 하기 전의 가접합용으로 주로 쓰인다.
ㄹ. 시어커넥터는 전단력 보강을 이해 사용된다. 스터드 볼트를 쉬어커넥터로 사용합니다.

 

7. 철골구조 용접접합에서 두 접합재의 면을 가공하지 않고 직각으로 맞추어 겹쳐지는 모서리 부분을 용접하는 방식은?

  • ① 그루브(groove)용접
  • ② 필릿(fillet)용접
  • ③ 플러그(plug)용접
  • ④ 슬롯(slot)용접
  • ⑤ 스터드(stud)용접
더보기
정답 ②
그루브(groove welding)용접 - (맞대기용접(butt welding), 넓은 평면을 만들기 위해, 맞대어 용접 함, 맞대는 면을 어떻게 가공하느냐에따라 I형과 V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필릿(fillet)용접 - 평면 위에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용접


8. 구조용강재의 재질표시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
  • ②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
  • ③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 SMA
  • ④ 건축구조용 압연강재: SSC
  • ⑤ 건축구조용 열간압연 H형강: SHN
더보기
정답 ④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 (steel for Structure)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 (Steel for Marine)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 SMA (Steel for Marine Atmosphere)
건축구조용 압연강재: SN (Steel for New)
건축구조용 열간압연 H형강: SHN (Steel 'H-section' New)


9. H형강보의 웨브를 지그재그로 절단한 후, 위 아래를 어긋나게 용접하여 육각형의 구멍이 뚫린 보는?

  • ① 래티스보
  • ② 허니콤보
  • ③ 격자보
  • ④ 판보
  • ⑤ 합성보
더보기
정답 ②
래티스보 : 상하 플랜지에 ㄱ자형강을 쓰고 웨브재로 평강을 경사지게 접합하여 트러스 모양으로 만든 보로서 지붕트러스 사이에 건너 대는 보조 보등 힘을 많이 받지 않는곳에 사용함.
격자보 : 상하 플랜지에 ㄱ자형강을 쓰고 웨브재로 평강을 90도로 접합하여 접합하여 만든 보.
트러스보 : 지붕트러스 모양으로 앵글 또는 채널을 사용하여 조립한 보로서 용접을 하거나 리벳으로 조립한 보
조립판보 : 철판을 잘라서 용접 등으 로 접합, 조립하여 H형강 형태로 제작한 보.


10. 벽돌구조의 쌓기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엇모쌓기는 벽돌을 45 ° 각도로 모서리가 면에 나오도록 쌓는 방식이다.
  • ② 영롱쌓기는 벽돌벽에 구멍을 내어 쌓는 방식이다.
  • ③ 공간쌓기는 벽돌벽의 중간에 공간을 두어 쌓는 방식이다.
  • ④ 내쌓기는 장선 및 마루 등을 받치기 위해 벽돌을 벽면에서 내밀어 쌓는 방식이다.
  • ⑤ 아치쌓기는 상부하중을 아치의 축선을 따라 인장력으로 하부에 전달되게 쌓는 방식이다.
더보기
정답 ⑤
아치쌓기는 구조물의 상부에서 오는 수직 압력이 아치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로 분산되어 직압력만 받게 되고 부재 하부에 인장력이 생기지 않도록 한 구조이다.

 

11. 타일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클링커 타일은 바닥용으로 적합하다.
  • ② 붙임용 모르타르에 접착력 향상을 위해 시멘트 가루를 뿌린다.
  • ③ 흡수성이 있는 타일의 경우 물을 축여 사용한다.
  • ④ 벽타일 붙임공법에서 접착제 붙임공법은 내장공사에 주로 적용한다.
  • ⑤ 벽타일 붙임공법에서 개량압착 붙임공법은 바탕면과 타일 뒷면에 붙임 모르타르를 발라 붙이는 공법이다.
더보기
정답 ②
시멘트 가루를 뿌리면 타일이 갈라지거나, 떨어짐의 원인이 된다.

 

12. 문틀을 짜고 문틀 양면에 합판을 붙여서 평평하게 제작한 문은?

  • ① 플러시문
  • ② 양판문
  • ③ 도듬문
  • ④ 널문
  • ⑤ 합판문
더보기
정답 ①
양판문 - 울거미(문 자체의 틀)를 짜고 울거미 사이에 판자를 대어 만든 문, 울거미가 보임 (옛날 문)
도듬문 - 전통 한옥에서 창호지를 붙이는 분

 

13. ( )에 들어갈 유리명칭으로 옳은 것은?

  • ○ ( ㄱ )유리는 판유리에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유리로서, 적외선이 잘 투과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 ○ ( ㄴ )유리는 판유리 표면에 금속산화물의 얇은 막을 코팅하여 입힌 유리로서, 경면효과가 발생하는 성질을 갖는다.
  • ○ ( ㄷ )유리는 판유리의 한쪽 면에 세라믹질 도료를 코팅하여 불투명하게 제작한 유리이다.
  • ① ㄱ: 열선흡수, ㄴ: 열선반사, ㄷ: 스팬드럴
  • ② ㄱ: 열선흡수, ㄴ: 스팬드럴, ㄷ: 복층유리
  • ③ ㄱ: 스팬드럴, ㄴ: 열선흡수, ㄷ: 복층유리
  • ④ ㄱ: 스팬드럴, ㄴ: 열선반사, ㄷ: 열선흡수
  • ⑤ ㄱ: 복층유리, ㄴ: 열선흡수, ㄷ: 스팬드럴
더보기
정답 ①
경면효과 - 거울효과 즉, 반사
로이유리(low-e glass) : 유리표면에 금속을 코팅, 에너지 절약형 유리, 가시광선의 유입 정도가 커서 자연채광의 효과가 좋음, 컬러유리 가능
복층유리 - 유리와 유리 사이에 건조공기를 넣은 이중유리로서 단열 및 방서∙방음 효과가 있다. 현장가공 불가

 

14. 창호철물에서 경첩(hin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경첩은 문짝을 문틀에 달 때, 여닫는 축이 되는 역할을 한다.
  • ② 경첩의 축이 되는 것은 핀(pin)이고, 핀을 보호하기 위해 둘러감은 것이 행거(hanger)이다.
  • ③ 자유경첩(spring hinge)은 경첩에 스프링을 장치하여 안팎으로 자유롭게 여닫게해주는 철물이다.
  • ④ 플로어힌지(floor hinge)는 바닥에 설치하여 한쪽에서 열고나면 저절로 닫혀지는철물로 중량이 큰 자재문에 사용된다.
  • ⑤ 피봇힌지(pivot hinge)는 암수 돌쩌귀를 서로 끼워 회전으로 여닫게 해주는 철물이다.
더보기
정답 ②
경첩의 축이 되는 것은 부싱(bushing)이고, 핀을 보호하기 위해 둘러감은 것이 샤프트(shaft)이다.

 

15. . 방수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시멘트액체방수는 모체에 균열이 발생하여도 방수층 손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 ② 아스팔트방수는 방수층 보호를 위해 보호누름 처리가 필요하다.
  • ③ 도막방수는 도료상의 방수재를 여러 번 발라 방수막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 ④ 바깥방수는 수압이 강하고 깊은 지하실 방수에 사용된다.
  • ⑤ 실링방수는 접합부, 줄눈, 균열부위 등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더보기
정답 ①
시멘트액체방수는 콘트리트의 균열이 발생했을 경우 완전방수가 어렵다.

 

16. 개량아스팔트시트 방수의 시공순서로 옳은 것은?

  • ㄱ. 보호 및 마감
  • ㄴ. 특수부위 처리
  • ㄷ. 프라이머 도포
  • ㄹ. 바탕처리
  • ㅁ. 개량아스팔트시트 붙이기
  • ① ㄹ → ㄱ → ㅁ → ㄴ → ㄷ
  • ② ㄹ → ㄴ → ㄱ → ㄷ → ㅁ
  • ③ ㄹ → ㄴ → ㄷ → ㅁ → ㄱ
  • ④ ㄹ → ㄷ → ㄴ → ㄱ → ㅁ
  • ⑤ ㄹ → ㄷ → ㅁ → ㄴ → ㄱ
더보기
정답 ⑤
바탕처리 → 프라이머 도포 → 개량아스팔트시트 붙이기 → 특수부위 처리 → 보호 및 마감

 

17. 계단 각부에 관한 명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디딤판 ㄴ. 챌판 ㄷ. 논슬립 ㄹ. 코너비드 ㅁ. 엔드탭
  • ① ㄱ, ㄴ, ㄷ
  • ② ㄱ, ㄴ, ㅁ
  • ③ ㄱ, ㄷ, ㄹ
  • ④ ㄴ, ㄹ, ㅁ
  • ⑤ ㄷ, ㄹ, ㅁ
더보기
정답 ①
ㄹ. 코너비드: 돌출모서리를 양면각을 정확하게 마감하기 위해 수직으로 시공하는 것, 모서리 시공용 철물
ㅁ. 엔드탭: 용접 시 끝 부분의 완전한 용접을 위해 덧대어 놓은 판

 

18. 모임지붕 물매의 상하를 다르게 한 지붕으로 천장 속을 높게 이용할 수 있고, 비교적 큰 실내구성에 용이한 지붕은?

  • ① 합각지붕
  • ② 솟을지붕
  • ③ 꺽임지붕
  • ④ 맨사드(mansard)지붕
  • ⑤ 부섭지붕
더보기
정답 ④
맨사드 - 다락방을 만드는 지붕이다.

 

19. 건축적산 및 견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적산은 공사에 필요한 재료 및 품의 수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 ② 명세견적은 완성된 설계도서, 현장설명, 질의응답 등에 의해 정밀한 공사비를 산출하는 것이다.
  • ③ 개산견적은 설계도서가 미비하거나 정밀한 적산을 할 수 없을 때 공사비를 산출하는 것이다.
  • ④ 품셈은 단위공사량에 소요되는 재료, 인력 및 기계력 등을 단가로 표시한 것이다.
  • ⑤ 일위대가는 재료비에 가공 및 설치비 등을 가산하여 단위단가로 작성한 것이다.
더보기
정답 ④
④ 단가로 표시하지 않고 수량으로 표시한다.

 

20. 벽돌 담장의 크기를 길이 8 m, 높이 2.5 m, 두께 2.0 B(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5 B+ 붉은 벽돌 0.5 B)로 할 때, 콘크리트(시멘트)벽돌과 붉은 벽돌의 정미량은? (단, 사용 벽돌은 모두 표준형 190 × 90 × 57 mm로 하고, 줄눈은 10 mm로 하며, 소수점 이하는 무조건 올림한다.)

  • ①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500매, 붉은 벽돌: 4,704매
  • ②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545매, 붉은 벽돌: 4,480매
  • ③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4,480매, 붉은 벽돌: 1,500매
  • ④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4,480매, 붉은 벽돌: 1,545매
  • ⑤ 콘크리트(시멘트) 벽돌: 4,704매, 붉은 벽돌: 1,545매
더보기
정답 ③
0.5B = 75, 1.0B = 149, 1.5B = 224, 2.0B = 298
시멘트 벽돌 : 8 X 2.5 X 224 = 4,480매  붉은 벽돌 : 8 X 2.5 X 75 = 1,500매

 

21. 트랩의 봉수파괴 원인이 아닌 것은?

  • ① 수격작용
  • ② 모세관현상
  • ③ 증발작용
  • ④ 분출작용
  • ⑤ 자기사이펀작용
더보기
정답 ①
수격작용 - 유로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나 흐름의 변화에 의해 압력파가 발생하고 그로인해 소음과 충격을 일으키는 현상
트랩과 봉수 - 일정량의 물이 고여있게 하여  역류되는 하수가스를 방지하는 기구를 트랩이라 한다. 이때 이 고여있는 물을 봉수라 한다.
봉수파괴 현상 - 트랩에 고여있는 물이 없어지는 현상을 봉수파괴라 한다.
② 모세관 현상 - 트랩내에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하부쪽으로 걸쳐 있다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불이 조금씩 빠져 나갈 수 있다. 물이 고인 대야에 걸레를 걸쳐 놓으면 걸쳐진 걸레를 타고 물이 넘어가서 없어지게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22.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계산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배관의 관경
  • ㄴ. 배관의 길이
  • ㄷ. 배관내 유속
  • ㄹ. 배관의 마찰계수
  • ① ㄱ, ㄷ
  • ② ㄴ, ㄹ
  • ③ ㄱ, ㄴ, ㄹ
  • ④ ㄴ, ㄷ, ㄹ
  • ⑤ ㄱ, ㄴ, ㄷ, ㄹ
더보기
정답 ⑤
마찰손실수두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찰손실수두는 배관의 마찰계수와 배관의 길이에 비례하고, 배관의 관경에 반비례하며, 2배의 중력가속도에 반비례하고 배관 내 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비례는 분자, 반비례는 분모

 

23. 건축설비의 기초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순수한 물은 1기압 하에서 4℃일 때 가장 무겁고 부피는 최대가 된다.
  • 섭씨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459.7을 더한 값이다.
  • ③ 비체적이란 체적을 질량으로 나눈 것이다.
  • ④ 물체의 상태 변화 없이 온도가 변화할 때 필요한 열량은 잠열이다.
  • ⑤ 열용량은 단위 중량 물체의 온도를 1 ℃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더보기
정답 ③
① 순수한 물은 1기압 하에서 4℃일 때 부피는 최소가 된다.
② 섭씨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273.15을 더한 값이다.
④ 물질의 상태를 바꾸지 아니하고, 단순히 온도만 높이거나 낮추는 데에 드는 열은 현열이다.
잠열은 어떤 물체가 온도의 변화없이 상태가 변할 때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열이다.
⑤ 열용량과 비열용량은 별개의 것, 비열용량은 어떤 물질의 1g당 1도를 올리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다.
열용량은 어떤 물질 전체를 1도 올리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다.
⑤은 단위 중량이라는 단어가 있으므로, 비열용량을 설명한 것으로 봐야 합니다.
 
24. 급탕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저탕탱크의 온수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서모스탯을 설치한다.
  • 기수혼합식 탕비기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열효율이 좋지 않다.
  • 중앙식 급탕방식은 가열방법에 따라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으로 구분한다.
  • 개별식 급탕방식은 급탕을 필요로 하는 개소마다 가열기를 설치하여 급탕하는 방식이다.
  • 수온변화에 의한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을 설치한다.
더보기
정답 ②
② 기수혼합식은 물에 증기가 유입되므로 소음이 크며, 열효율은 100%에 근사한다.

 

25. 위생기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세출식 대변기는 오물을 직접 유수부에 낙하시켜 물의 낙차에 의하여 오물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 ㄴ. 위생기구 설비의 유닛(unit)화는 공기단축, 시공정밀도 향상 등의 장점이 있다.
  • ㄷ. 사이펀식 대변기는 분수구로부터 높은 압력으로 물을 뿜어내어 그 작용으로 유수를 배수관으로 유인하는 방식이다.
  • ㄹ. 위생기구는 흡수성이 작고,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 ① ㄱ, ㄷ
  • ② ㄴ, ㄹ
  • ③ ㄱ, ㄴ, ㄹ
  • ④ ㄴ, ㄷ, ㄹ
  • ⑤ ㄱ, ㄴ, ㄷ, ㄹ
더보기
정답 ②
세출식 - 얕은 수면에 오물을 받고, 가장자리 여러곳에서 분출되는 세정수로 오물을 씻어내리는 방식이다.
세락식 - 오물을 직접 유수부에 낙하시켜 물의 낙차에 의하여 오물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오물 부착의 기회가 많은 단점이 있다.사이펀식 - 세정시 만수상태가 되었을 때, 배수로에 물이 가득차게 되고 이때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 그 흡인력으로 오물을 빨아들여 세정하는 방식.
취출식 - 높은 압력으로 물을 뿜어내어 오물을 취출시키는 방식

 

26. 오수처리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DO는 용존산소량으로 DO 값이 작을수록 오수의 정화능력이 우수하다.
  • ② COD는 화학적산소요구량, SS는 부유물질을 말한다.
  • ③ BOD 제거율이 높을수록 정화조의 성능이 우수하다.
  • ④ 오수처리에 활용되는 미생물에는 호기성미생물과 혐기성미생물 등이 있다.
  • ⑤ 분뇨란 수거식화장실에서 수거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오염물질을 말한다.
더보기
정답 ①
DO는 용존산소량으로 DO 값이 높을수록 오수의 정화능력이 우수하다.

 

27. 다음은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상 신축공동주택등의 기계환기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내용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외부에 면하는 공기흡입구와 배기구는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 ㄱ )미터 이상의 이격거리를 확보하거나, 공기흡입구와 배기구의 방향이 서로 ( ㄴ ) 도 이상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고 화재 등 유사 시 안전에 대비할 수 있는 구조와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 ① ㄱ: 1.0, ㄴ: 45
  • ② ㄱ: 1.0, ㄴ: 90
  • ③ ㄱ: 1.5, ㄴ: 45
  • ④ ㄱ: 1.5, ㄴ: 90
  • ⑤ ㄱ: 3.0, ㄴ: 45
더보기
정답 ④

 

28.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① 가스감지기는 LNG인 경우에는 바닥 쪽에, LPG인 경우에는 천장 쪽에 설치하여야 한다.
  • ② 차수판 또는 차수막을 설치하지 않은 통신배관실에는 최소 30 mm 이상의 문턱을 설치하여야 한다.
  • ③ 통신배관실내의 트레이(tray) 또는 배관, 덕트 등의 설치용 개구부는 화재시 층간 확대를 방지하도록 방화처리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 ④ 통신배관실의 출입문은 폭 0.6미터, 높이 1.8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 ⑤ 집중구내통신실은 TPS실이라고 하며, 통신용 파이프 샤프트 및 통신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더보기
정답 ③
가스감지기는 LNG는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천장에서 30cm 아래에, LPG는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바닥에서 30 cm 위에 설치합니다.
차수판 또는 차수막을 설치하지 않은 통신배관실에는 최소 50 mm 이상의 문턱을 설치하여야 한다.
통신배관실의 출입문은 폭 0.7미터, 높이 1.8미터 이상(문틀의 내측치수)이어야 한다.
통신배관실(TPS실) : 통신용 파이프 샤프트 및 통신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임.
집중구내통신실(MDF실) : 국선·국선단자함 또는 국선배선반과 초고속통신망장비, 이동통신망장비 등 각종 구내통신선로설비 및 구내용 이동통신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임.

 

29. 난방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온수난방은 증기난방과 비교하여 예열시간이 짧아 간헐운전에 적합하다.
  • ② 난방코일이 바닥에 매설되어 있는 바닥복사난방은 균열이나 누수 시 수리가 어렵다.
  • ③ 증기난방은 비난방 시 배관이 비어 있어 한랭지에서도 동결에 의한 파손 우려가 적다.
  • ④ 바닥복사난방은 온풍난방과 비교하여 천장이 높은 대공간에서도 난방효과가 좋다.
  • ⑤ 증기난방은 온수난방과 비교하여 난방부하의 변동에 따른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더보기
정답 ①
온수난방은 열용량이 커서, 순환시간과 예열시간이 길다. 따라서 지속난방에 적합하다.

 

30. 승강기, 승강장 및 승강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비상용승강기의 승강로 구조는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 ② 옥내에 설치하는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5 이상으로 해야 한다.
  • ③ 기어리스 구동기는 전동기의 회전력을 감속하지 않고 직접 권상도르래로 전달하는 구조이다.
  • ④ 승강로, 기계실ㆍ기계류 공간, 풀리실의 출입문에 인접한 접근 통로는 50 ㏓ 이상의 조도를 갖는 영구적으로 설치된 전기 조명에 의해 비춰야 한다.
  • ⑤ 완충기는 스프링 또는 유체 등을 이용하여 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더보기
정답 ②
피난용승강기의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승강기 1대당 6 ㎡ 이상으로 해야 한다.

 

31. 다음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등의 자체점검 시 점검인력 배치기준에 관한 내용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아파트(공용시설, 부대시설 또는 복리시설은 포함하고, 아파트가 포함된 복합건축물의 아파트 외의 부분은 제외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를 점검할 때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른다. 가. 점검인력 1단위가 하루 동안 점검할 수 있는 아파트의 세대수(이하 "점검한도 세대수"라 한다)는 다음과 같다. 1) 종합정밀점검: ( ㄱ )세대
2) 작동기능점검: ( ㄴ )세대(소규모점검의 경우에는 ( ㄷ )세대)
  • ① ㄱ: 250, ㄴ: 300, ㄷ: 100
  • ② ㄱ: 250, ㄴ: 350, ㄷ: 90
  • ③ ㄱ: 250, ㄴ: 350, ㄷ: 100
  • ④ ㄱ: 300, ㄴ: 250, ㄷ: 90
  • ⑤ ㄱ: 300, ㄴ: 350, ㄷ: 90
더보기
정답 ⑤
가. 점검인력 1단위가 하루 동안 점검할 수 있는 아파트의 세대수(이하 "점검한도 세대수"라 한다)는 다음과 같다. 1) 종합정밀점검: 300세대 2) 작동기능점검: 350세대(소규모점검의 경우에는 90세대)
나. 점검인력 1단위에 보조인력을 1명씩 추가할 때마다 종합정밀점검의 경우에는 70세대, 작동기능점검의 경우에는 90세대씩을 점검한도 세대수에 더한다.

 

32. 바닥면적이 120 인 공동주택 관리사무실에서 소요조도를 400 럭스(lx)로 확보하기 위한 조명기구의 최소개수는? (단, 조명기구의 개당 광속은 4,000 루멘(lm), 실의 조명율 60 %, 보수율은 0.8로 한다.)

  • ① 9개
  • ② 13개
  • ③ 16개
  • ④ 20개
  • ⑤ 25개
더보기
정답 ⑤
FUN = EAD
N = EAD / FU
   = 소요조도 x 면적 x (1 /보수율) / (개당 광속 x 조명율)
   = (400 x 120 x (1 / 0.8) ) / (4000 x 0.6)
   = 25

 

33. 도시가스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① 가스계량기는 절연조치를 하지 않은 전선과는 10 cm 이상 거리를 유지한다.
  • ② 가스사용시설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매 2년에 1회 이상 압력조정기의 유지ㆍ관리에 적합한 방법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 ③ 가스배관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하되 그 호칭지름이 13 mm 미만의 것에는 2 m 마다 고정 장치를 설치한다.
  • ④ 가스계량기와 화기(그 시설 안에서 사용하는 자체화기는 제외)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거리는 2 m 이상이다.
  • ⑤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 및 전기개폐기와의 거리는 30 cm 이상 유지한다.
더보기
정답 ④
가스사용시설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매 1년에 1회 이상(필터나 스트레이너의 청소는 매 3년에 1회 이상) 압력조정기의 유지ㆍ관리에 적합한 방법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할 것
배관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하되 그 호칭지름이 13㎜ 미만의 것에는 1m 마다, 13㎜ 이상 33㎜ 미만의 것에는 2m 마다, 33㎜ 이상의 것에는 3m 마다 고정 장치를 설치할 것(배관과 고정 장치 사이에는 절연조치를 할 것). 다만, 호칭지름 100㎜ 이상의 것에는 적절한 방법에 따라 3m를 초과하여 설치할 수 있다.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 및 전기개폐기와의 거리는 60 ㎝ 이상, 굴뚝(단열조치를 하지 아니한 경우만을 말한다) ·전기점멸기 및 전기접속기와의 거리는 30 ㎝ 이상, 절연조치를 하지 아니한 전선과의 거리는 15 ㎝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34.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ㅇ 특정소방대상물의 어느 층에서도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두 개 이상 설치된경우에는 두 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 ( ㄱ )메가파스칼 이상의 방수압력으로 분당 130리터 이상의 소화수를방수할 수 있는 성능인 것으로 할 것
  • ㅇ 옥내소화전방수구의 호스는 구경 ( ㄴ )밀리미터(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경우에는 25밀리미터) 이상인 것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물이유효하게 뿌려질 수 있는 길이로 설치할 것
  • ① ㄱ: 0.12, ㄴ: 35
  • ② ㄱ: 0.12, ㄴ: 40
  • ③ ㄱ: 0.17, ㄴ: 35
  • ④ ㄱ: 0.17, ㄴ: 40
  • ⑤ ㄱ: 0.25, ㄴ: 35
더보기
정답 ④

 

35.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상 층간소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직접충격 소음은 뛰거나 걷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층간소음이다.
  • ② 공기전달 소음은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층간소음이다.
  • ③ 욕실, 화장실 및 다용도실 등에서 급수ㆍ배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은 층간소음에포함한다.
  • ④ 층간소음의 기준 시간대는 주간은 06시부터 22시까지, 야간은 22시부터 06시까지로구분한다.
  • ⑤ 직접충격 소음은 1분간 등가소음도(Leq) 및 최고소음도(Lmax)로 평가한다.
더보기
정답 ③
급수와 배수에 관련된 소음은 층간 소음에 해당하지 않는다.

 

36. 6인이 근무하는 공동주택 관리사무실에서 실내의 CO2 허용농도는 1,000 ppm, 외기의 CO2 농도는 400 ppm일 때 최소 필요 환기량(m3/h)은? (단, 1인당 CO2 발생량은 0.015 m3/h 이다.)

  • ① 30
  • ② 90
  • ③ 150
  • ④ 300
  • ⑤ 400
더보기
정답 ③
환기량 = 실내 총 CO2발생량 / (실내CO2농도 - 실외 CO2농도)
ppm농도 값에서 1,000,000을 나누어서 게산해야 한다.
Q = q / (Pi - Po)
    = 실내 총 CO2 발생량 / (실내의 CO2 허용농도 - 실외의 CO2농도)
    = (0.015*6)/(1 - 4)
    = 0.015*6/(0.001-0.0004)
    = 150

 

37. 급수설비에서 펌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펌프의 양수량은 펌프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 ② 볼류트 펌프와 터빈 펌프는 원심식 펌프이다.
  • ③ 서징(surging)이 발생하면 배관내의 유량과 압력에 변동이 생긴다.
  • ④ 펌프의 성능곡선은 양수량, 관경, 유속, 비체적 등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⑤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해 흡입양정을 낮춘다.
더보기
정답 ④
펌프의 성능곡선은 해당 RPM에서 유량, 양정, 효율, 동력, NPSHr 등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곡선이다.

 

38. 배관의 부속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볼 밸브는 핸들을 90도 돌림으로써 밸브가 완전히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 ② 스트레이너는 배관 중에 먼지 또는 토사, 쇠 부스러기 등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한다.
  • ③ 버터플라이 밸브는 밸브 내부에 있는 원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조절한다.
  • ④ 체크 밸브에는 수평ㆍ수직 배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스윙형과 수평배관에만 사용하는 리프트형이 있다.
  • ⑤ 게이트 밸브는 주로 유량조절에 사용하며 글로브 밸브에 비해 유체에 대한 저항이 큰 단점을 갖고 있다.
더보기
정답 ⑤
글로브밸브 - 유량조절용으로 사용, S자 형상, 유체의 감속을 필요로 하는 곳에 적합하다.
게이트 밸브 - 수문과 같이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 유로를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 열었을때, 밸브내의 압력 감소가 없음, 마찰이 가장 작은 밸브다.

 

39.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배관의 이음방식은?

배관과 밸브 등을 접속할 때 사용하며, 교체 및 해체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방식
  • ① 플랜지 이음
  • ② 용접 이음
  • ③ 소벤트 이음
  • ④ 플러그 이음
  • ⑤ 크로스 이음
더보기
정답 ①

 

40. 소방시설 중 피난구조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완강기
  • ② 제연설비
  • ③ 피난사다리
  • ④ 구조대
  • ⑤ 피난구유도등
더보기
정답 ②
제연설비 - 소방활동설비의 일종, 화재 초기단계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연기를 배출하는 등 연기를 제어하는 목적의 설비


 

 

 

로켓배송으로 빠르게, 로켓와우 멤버십으로 할인과 무료 반품까지 | 쿠팡

쿠팡 로켓배송, 로켓프레시, 로켓직구, 로켓럭셔리까지 쿠팡 멤버십으로 모든 혜택을 한 번에 누려보세요. 쿠팡 로켓와우 멤버는 무료배송도 가능합니다.

www.coupang.com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