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 가리기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 "정답 및 해설보기" 또는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정답과 간단한 해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설이 없는 문항이 있을 수 있지만수시로추가됩니다. 스마트폰에서 짜투리 시간에 공부하기 참 좋습니다.꾸준히 반복해서 풀어 보면서 익히시면 유형을 파악할 수 있어서 실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자주 방문해 보세요.
정답 ③ ㄱ. 반응수정계수 : 건물의 뼈대의 강성, 반응수정계수가 크면 지진하중은 적다. ㄴ. 고도분포계수는 고도에 따라 대응되는 물리량의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계수 인데, 대응되는 항목, 그 뭔가가 빠져 있다. 즉, 단독으로 고도분포계수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풍속고도분포계수와 같이 나와 있다면 고도에 따라 풍속의 변화를 나타낸 계수일 것이다. ㄹ. 가스트영향계수는 바람의 난류로 인행 발생하는 구조물의 동적거동성분을 나타내는 계수 ㅁ. 건물의 중량과 밑면전단력은 비례관계이다.
2. 기초구조 및 터파기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서로 다른 종류의 지정을 사용하면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② 지중보는 부등침하 억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③ 2개의 기둥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1개의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방식의 기초를 연속기초라고 한다.
④ 웰포인트 공법은 점토질 지반의 대표적인 연약 지반 개량공법이다.
⑤ 중앙부를 먼저 굴토하고 구조체를 설치한 후, 외주부를 굴토하는 공법을 아일랜드컷공법이라 한다.
정답 ③ ①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압축응력과 변형률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압축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② SD400의 항복강도는 400MPa입니다. 이것을 뉴톤 단위로 바꾸면 400 N/mm² 입니다. 문제의 지문을 잘 보면 400 N/mm 로 적혀 있어서 단위가 잘못되었네요. ④ 주철근의 위치 고정을 목적으로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이 사용된다. 이들 철근은 기둥의. 연성 및 전단내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횡방향 철근이라고 한다. ⑤ 1방향 슬래브의 경우 하중의 90%이상이 단변방향으로 전달된다.
4.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의 양에 따른 반죽의 질기를 컨시스턴시(consistency)라고 한다.
②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위수량이 증가하면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증가한다.
정답 ③ ① D35 를 초과하는 철근은 인장 겹침 이음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D35는 겹칩 이음이 가능하다. ② 기둥의 주근이 기초에 정착(매립)됩니다. ④ 큰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하고, 작은보의 주근은 큰보에 정착합니다. ⑤ 갈고리는 인장에 강한 콘크리트를 만듭니다. 압축을 받는 철근은 갈고리를 만들지 않는다.
정답 ④ ㄱ. 볼트와 용접부위 모두 응력을 받는다. ㄷ. 진동 충격 또는 반복응력을 받는 접합부에는 볼트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구조내력상 주요 부분에는 볼트 접합을 사용하지 않는다. 볼트 접합은 경미한 구조재나 가설건물 또는 용접이나 리벳치기를 하기 전의 가접합용으로 주로 쓰인다. ㄹ. 시어커넥터는 전단력 보강을 이해 사용된다. 스터드 볼트를 쉬어커넥터로 사용합니다.
7. 철골구조 용접접합에서 두 접합재의 면을 가공하지 않고 직각으로 맞추어 겹쳐지는 모서리 부분을 용접하는 방식은?
정답 ④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 (steel for Structure)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M (Steel for Marine)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 SMA (Steel for Marine Atmosphere) 건축구조용 압연강재: SN (Steel for New) 건축구조용 열간압연 H형강: SHN (Steel 'H-section' New)
9. H형강보의 웨브를 지그재그로 절단한 후, 위 아래를 어긋나게 용접하여 육각형의 구멍이 뚫린 보는?
정답 ② 래티스보 : 상하 플랜지에 ㄱ자형강을 쓰고 웨브재로 평강을 경사지게 접합하여 트러스 모양으로 만든 보로서 지붕트러스 사이에 건너 대는 보조 보등 힘을 많이 받지 않는곳에 사용함. 격자보 : 상하 플랜지에 ㄱ자형강을 쓰고 웨브재로 평강을 90도로 접합하여 접합하여 만든 보. 트러스보 : 지붕트러스 모양으로 앵글 또는 채널을 사용하여 조립한 보로서 용접을 하거나 리벳으로 조립한 보 조립판보 : 철판을 잘라서 용접 등으 로 접합, 조립하여 H형강 형태로 제작한 보.
정답 ① 경면효과 - 거울효과 즉, 반사 로이유리(low-e glass) : 유리표면에 금속을 코팅, 에너지 절약형 유리, 가시광선의 유입 정도가 커서 자연채광의 효과가 좋음, 컬러유리 가능 복층유리 - 유리와 유리 사이에 건조공기를 넣은 이중유리로서 단열 및 방서∙방음 효과가 있다. 현장가공 불가
14. 창호철물에서 경첩(hing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첩은 문짝을 문틀에 달 때, 여닫는 축이 되는 역할을 한다.
② 경첩의 축이 되는 것은 핀(pin)이고, 핀을 보호하기 위해 둘러감은 것이 행거(hanger)이다.
③ 자유경첩(spring hinge)은 경첩에 스프링을 장치하여 안팎으로 자유롭게 여닫게해주는 철물이다.
④ 플로어힌지(floor hinge)는 바닥에 설치하여 한쪽에서 열고나면 저절로 닫혀지는철물로 중량이 큰 자재문에 사용된다.
⑤ 피봇힌지(pivot hinge)는 암수 돌쩌귀를 서로 끼워 회전으로 여닫게 해주는 철물이다.
20. 벽돌 담장의 크기를 길이 8 m, 높이 2.5 m, 두께 2.0 B(콘크리트(시멘트) 벽돌 1.5 B+ 붉은 벽돌 0.5 B)로 할 때, 콘크리트(시멘트)벽돌과 붉은 벽돌의 정미량은? (단, 사용 벽돌은 모두 표준형 190 × 90 × 57 mm로 하고, 줄눈은 10 mm로 하며, 소수점 이하는 무조건 올림한다.)
정답 ① 수격작용 - 유로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나 흐름의 변화에 의해 압력파가 발생하고 그로인해 소음과 충격을 일으키는 현상 트랩과 봉수 - 일정량의 물이 고여있게 하여 역류되는 하수가스를 방지하는 기구를 트랩이라 한다. 이때 이 고여있는 물을 봉수라 한다. 봉수파괴 현상 - 트랩에 고여있는 물이 없어지는 현상을 봉수파괴라 한다. ② 모세관 현상 - 트랩내에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하부쪽으로 걸쳐 있다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불이 조금씩 빠져 나갈 수 있다. 물이 고인 대야에 걸레를 걸쳐 놓으면 걸쳐진 걸레를 타고 물이 넘어가서 없어지게 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정답 ③ ① 순수한 물은 1기압 하에서 4℃일 때 부피는 최소가 된다. ② 섭씨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273.15을 더한 값이다. ④ 물질의 상태를 바꾸지 아니하고, 단순히 온도만 높이거나 낮추는 데에 드는 열은 현열이다. 잠열은 어떤 물체가 온도의 변화없이 상태가 변할 때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열이다. ⑤ 열용량과 비열용량은 별개의 것, 비열용량은 어떤 물질의 1g당 1도를 올리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다. 열용량은 어떤 물질 전체를 1도 올리기 위한 에너지의 양이다. ⑤은 단위 중량이라는 단어가 있으므로, 비열용량을 설명한 것으로 봐야 합니다.
정답 ② 세출식 - 얕은 수면에 오물을 받고, 가장자리 여러곳에서 분출되는 세정수로 오물을 씻어내리는 방식이다. 세락식 - 오물을 직접 유수부에 낙하시켜 물의 낙차에 의하여 오물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오물 부착의 기회가 많은 단점이 있다.사이펀식 - 세정시 만수상태가 되었을 때, 배수로에 물이 가득차게 되고 이때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 그 흡인력으로 오물을 빨아들여 세정하는 방식. 취출식 - 높은 압력으로 물을 뿜어내어 오물을 취출시키는 방식
정답 ③ 가스감지기는 LNG는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천장에서 30cm 아래에, LPG는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바닥에서 30 cm 위에 설치합니다. 차수판 또는 차수막을 설치하지 않은 통신배관실에는 최소 50 mm 이상의 문턱을 설치하여야 한다. 통신배관실의 출입문은 폭 0.7미터, 높이 1.8미터 이상(문틀의 내측치수)이어야 한다. 통신배관실(TPS실) : 통신용 파이프 샤프트 및 통신단자함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임. 집중구내통신실(MDF실) : 국선·국선단자함 또는 국선배선반과 초고속통신망장비, 이동통신망장비 등 각종 구내통신선로설비 및 구내용 이동통신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임.
31. 다음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등의 자체점검 시 점검인력 배치기준에 관한 내용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제2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아파트(공용시설, 부대시설 또는 복리시설은 포함하고, 아파트가 포함된 복합건축물의 아파트 외의 부분은 제외한다. 이하 이 표에서 같다)를 점검할 때에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른다. 가. 점검인력 1단위가 하루 동안 점검할 수 있는 아파트의 세대수(이하 "점검한도 세대수"라 한다)는 다음과 같다. 1) 종합정밀점검: ( ㄱ )세대 2) 작동기능점검: ( ㄴ )세대(소규모점검의 경우에는 ( ㄷ )세대)
정답 ⑤ 가. 점검인력 1단위가 하루 동안 점검할 수 있는 아파트의 세대수(이하 "점검한도 세대수"라 한다)는 다음과 같다. 1) 종합정밀점검: 300세대 2) 작동기능점검: 350세대(소규모점검의 경우에는 90세대) 나. 점검인력 1단위에 보조인력을 1명씩 추가할 때마다 종합정밀점검의 경우에는 70세대, 작동기능점검의 경우에는 90세대씩을 점검한도 세대수에 더한다.
32. 바닥면적이 120 ㎡인 공동주택 관리사무실에서 소요조도를 400 럭스(lx)로 확보하기 위한 조명기구의 최소개수는? (단, 조명기구의 개당 광속은 4,000 루멘(lm), 실의 조명율 60 %, 보수율은 0.8로 한다.)
정답 ④ 가스사용시설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매 1년에 1회 이상(필터나 스트레이너의 청소는 매 3년에 1회 이상) 압력조정기의 유지ㆍ관리에 적합한 방법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할 것 배관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부착하는 조치를 하되 그 호칭지름이 13㎜ 미만의 것에는 1m 마다, 13㎜ 이상 33㎜ 미만의 것에는 2m 마다, 33㎜ 이상의 것에는 3m 마다 고정 장치를 설치할 것(배관과 고정 장치 사이에는 절연조치를 할 것). 다만, 호칭지름 100㎜ 이상의 것에는 적절한 방법에 따라 3m를 초과하여 설치할 수 있다. 가스계량기와 전기계량기 및 전기개폐기와의 거리는 60 ㎝ 이상, 굴뚝(단열조치를 하지 아니한 경우만을 말한다) ·전기점멸기 및 전기접속기와의 거리는 30 ㎝ 이상, 절연조치를 하지 아니한 전선과의 거리는 15 ㎝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것
34.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ㅇ 특정소방대상물의 어느 층에서도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두 개 이상 설치된경우에는 두 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 ( ㄱ )메가파스칼 이상의 방수압력으로 분당 130리터 이상의 소화수를방수할 수 있는 성능인 것으로 할 것
ㅇ 옥내소화전방수구의 호스는 구경 ( ㄴ )밀리미터(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의경우에는 25밀리미터) 이상인 것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물이유효하게 뿌려질 수 있는 길이로 설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