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리사/기출문제

2023년 주택관리사 26회 1차 회계원리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by 보나삶한걸음 2025. 6. 8.
반응형

쿠팡파트너스 문구 이미지
주택관리사 26회 회계원리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썸네일 이미지
주택관리사 26회 회계원리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2023년 주택관리사 26회 1차  회계원리 기출문제 풀이

자세한 해설 문제 풀이 탑재.

정답 가리기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 "정답 및 해설보기" 또는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정답과 간단한 해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설이 없는 문항이 있을 수 있지만 수시로 추가됩니다. 스마트폰에서 자투리 시간에 공부하기 참 좋습니다. 꾸준히 반복해서 풀어 보면서 익히시면 유형을 파악할 수 있어서 실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주 방문해 보세요.


회계원리 (40문항)

1. 재무제표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한 경우가 아니라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준수하여 작성되었다고 기재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한 자산과 부채 그리고 수익과비용은 상계하지 아니한다.

③ 기업은 현금흐름 정보를 제외하고는 발생기준 회계를 사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④ 부적절한 회계정책은 이에 대해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 자료를 통해 설명한다면 정당화될 수 있다.

⑤ 유사한 항목은 중요성 분류에 따라 재무제표에 구분하여 표시한다.

더보기

정답: ④
해설: 적절한 회계정책은 공시나 주석을 통해 설명한다고 해서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회계정책은 반드시 K-IFRS에 부합해야 합니다.

 

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관련 문단에서 발췌되거나 파생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근본적 질적특성: 일반목적재무보고서의 주요 이용자들에게 유용하기 위하여재무정보가 지녀야 하는 질적특성

② 미이행계약: 계약당사자 모두가 자신의 의무를 전혀 수행하지 않았거나 계약당사자모두가 동일한 정도로 자신의 의무를 부분적으로 수행한 계약이나 계약의 일부

③ 부채: 현재사건의 결과로 실체의 경제적자원을 이전해야하는 미래의무

④ 인식: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또는 비용과 같은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정의를충족하는 항목을 재무상태표나 재무성과표에 포함하기 위하여 포착하는 과정

⑤ 중요한 정보: 정보가 누락되거나 잘못 기재된 경우 특정 보고실체의 재무정보를제공하는 일반목적재무보고서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주요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줄 수 있는 정보

더보기

정답: ③
해설: 부채: 부채는 "현재 의무로서, 경제적 자원이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정의됩니다. 단순히 "현재 사건의 결과"만으로 경제적 자원의 이전이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정의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3. (주)한국의 재무제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기말부채는?

기초자산 12,000 기초부채 7,000
기말자산 22,000 기말부채 ?
총수익 30,000 총비용 26,500
유상증자 1,000 현금배당 500

① ₩12,500

② ₩13,000

③ ₩13,500

④ ₩14,500

⑤ ₩15,000

더보기

정답: ②

해설:

기말자본 계산

재무상태표의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산 = 부채 + 자본 ]

기말자본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기초자본 + 총수익 - 총비용 + 유상증자 - 현금배당 ]

기초자본은 기초자산에서 기초부채를 뺀 값입니다.

[ 기초자본 = 12,000 - 7,000 = 5,000 ]

기말자본을 계산하면,

[ 5,000 + 30,000 - 26,500 + 1,000 - 500 = 9,000 ]

기말부채 계산

기말자산에서 기말자본을 빼면 기말부채가 나옵니다.

[ 기말부채 = 기말자산 - 기말자본 ]

[ 22,000 - 9,000 = 13,000 ]

따라서 정답은 ② ₩13,000 입니다.

 

4. (주)한국의 회계상 거래 중 비용이 발생하고 부채가 증가하는 거래는?

① 전기에 토지를 처분하고 받지 못한 대금을 현금수취하였다.

② 화재로 인하여 자사 컴퓨터가 소실되었다.

③ 당해 연도 발생한 임차료를 지급하지 않았다.

④ 대여금에서 발생한 이자수익을 기말에 인식하였다.

⑤ 전기에 지급하지 못한 종업원 급여에 대하여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였다.

더보기

정답:  

해설: 비용이 발생하고 부채가 증가하는 거래는 비용을 인식하면서도 아직 지급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① 전기에 토지를 처분하고 받지 못한 대금을 현금 수취하였다. → 이는 자산(현금)이 증가하고 미수금(채권)이 감소하는 거래로, 비용이나 부채 증가와 관련이 없습니다.

② 화재로 인해 자사 컴퓨터가 소실되었다. → 이는 자산(컴퓨터)의 감소로 인한 손실이지만, 부채 증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③ 당해 연도 발생한 임차료를 지급하지 않았다. → 비용(임차료)이 발생했지만 아직 지급하지 않았으므로 부채(미지급비용)가 증가합니다. (정답)

④ 대여금에서 발생한 이자수익을 기말에 인식하였다. → 이는 수익을 인식하는 거래로, 비용이나 부채 증가와 관련이 없습니다.

⑤ 전기에 지급하지 못한 종업원 급여에 대해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였다. → 이는 기존 부채(미지급 급여)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거래로, 부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5.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당기손익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초 인식된 토지재평가손실

②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지분상품의 평가손익

③ 원가모형을 적용하는 유형자산의 손상차손환입

④ 투자부동산평가손익

⑤ 사업결합시 발생한 염가매수차익

더보기

정답:  

해설: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당기손익으로 표시되는 항목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발생한 손익을 의미합니다. 기타포괄손익 항목은 당기손익에 포함되지 않고, 자본변동표를 통해 반영됩니다.

① 최초 인식된 토지재평가손실 → 토지 재평가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되므로 당기손익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②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지분상품의 평가손익 → 기타포괄손익 항목으로 분류되므로 당기손익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정답)

③ 원가모형을 적용하는 유형자산의 손상차손환입 → 손상차손환입은 당기손익에 포함됩니다.

④ 투자부동산평가손익 → 공정가치 평가를 적용하는 경우 당기손익에 포함됩니다.

⑤ 사업결합시 발생한 염가매수차익 → 당기손익에 포함됩니다.

 

6. 외부감사인이 감사보고서에 표명하는 감사의견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적정의견

② 부적정의견

③ 조정의견

④ 한정의견

⑤ 의견거절

더보기

정답:  

해설: 외부감사인이 감사보고서에서 표명하는 감사의견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적정의견 (Unqualified Opinion)
- 기업의 재무제표가 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작성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한정의견 (Qualified Opinion)
- 일부 항목에서 회계기준을 완전히 준수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는 신뢰할 수 있는 경우에 표명됩니다.
부적정의견 (Adverse Opinion)
- 기업의 재무제표가 회계기준을 심각하게 위반하여 신뢰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의견거절 (Disclaimer of Opinion)
- 감사인이 충분한 감사증거를 확보하지 못해 의견을 표명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7. 다음에 설명하는 재무제표의 측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할 때 받거나 부채를이전할 때 지급하게 될 가격이다.

① 역사적원가

② 현행원가

③ 이행가치

④ 사용가치

⑤ 공정가치

더보기

정답:  

해설:

- ① 역사적원가 (Historical Cost): 자산을 취득할 당시의 원가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② 현행원가 (Current Cost): 현재 동일한 자산을 다시 취득할 경우의 원가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 ③ 이행가치 (Settlement Value): 부채를 현재 정산할 경우 지급해야 할 금액을 의미합니다.
- ④ 사용가치 (Value in Use): 자산을 기업 내부에서 사용할 경우 기대되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의미합니다.
- ⑤ 공정가치 (Fair Value): 시장에서 정상적인 거래를 통해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형성되는 가격을 의미함 

 

8. (주)한국은 20×1년 초 현금 ₩1,000,000을 출자하여 설립하였으며, 이는 재고자산200개를 구입할 수 있는 금액이다. 기중에 물가가 3% 상승하였으며, 기말 순자산은 ₩1,500,000이다. 20×1년 말 동 재고자산을 구입할 수 있는 가격이 개당 ₩6,000 이라면, 실물자본유지개념에 의한 당기이익은? (단, 기중 자본거래는 없다.)

① ₩270,000

② ₩300,000

③ ₩320,000

④ ₩420,000

⑤ ₩470,000

더보기

정답은 ₩300,000 입니다.

해설:

실물자본유지개념에 의한 당기이익은 기업이 유지해야 할 자본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1. 유지해야 할 자본 계산

초기 출자금으로 200개의 재고자산을 구입할 수 있었으므로, 기말에도 동일한 200개를 유지해야 합니다.
기말에 재고자산을 구입할 수 있는 가격은 개당 ₩6,000이므로, 유지해야 할 자본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0 \times 6,000 = 1,200,000 ]

2. 당기이익 계산

기말 순자산에서 유지해야 할 자본을 차감하여 당기이익을 계산합니다.

[ 1,500,000 - 1,200,000 = 300,000 ]

따라서 정답은 ② ₩300,000입니다. 😊

실물자본유지개념은 기업의 생산능력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9. (주)한국은 20×1년 4월 1일에 사무실을 임대하고, 1년분 임대료로 ₩1,200(1개월₩100)을 현금 수취하여 이를 전액 수익으로 처리하였다. 20×1년 기말 수정분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때, 동 사무실 임대와 관련하여 수익에 대한 마감분개로 옳은 것은?

번호 차변 금액 대변 금액
임대료 900 집합손익 900
임대료 300 선수임대료 300
차기이월 300 선수임대료 300
집합손익 900 임대료 900
선수임대료 900 임대료 900
더보기

정답은

해설:

이 문제는 기말 수정분개와 수익의 마감분개를 구분해서 이해해야 정확히 풀 수 있어요.

 

🔍 상황 요약:

  • 20×1년 4월 1일에 1년치 임대료 ₩1,200을 현금으로 수취하고 **전액 수익(임대료)**으로 처리함.
  • 회계연도 말은 12월 31일, 따라서 **9개월치(4월12월)**만 당기 수익이고, **3개월치(13월)**는 차기로 이연되어야 함.

따라서 기말 수정분개는:

(차) 임대료 300 / (대) 선수임대료 300

→ 수익 중 차기분 300을 부채로 돌리는 조정

 

✅ 수익 마감분개란?

기말에 **수익 계정을 집합손익(또는 손익계정)**으로 옮겨서 당기 손익을 확정하는 분개예요.
수정분개 후 임대료 계정에는 **9개월치(₩900)**만 남아 있으므로, 마감분개는:

(차) 임대료 900 / (대) 집합손익 900

 

🎯 정답은: ① 임대료 900 / 집합손익 900

 

10. 다음은 (주)한국의 20×1년도 재고자산의 매입과 매출 관련 거래내역이다.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가중평균법을 적용할 경우 매출원가는? (단, 재고자산감모손실과평가손실은 없다.) 

일자 적요 수량(단위) 단위당 원가
1월 1일 기초재고 60 10
3월 1일 매입 40 15
6월 1일 매출 80 -
9월 1일 매입 60 20
12월 1일 매출 50 -

① ₩1,800

② ₩1,860

③ ₩1,900

④ ₩1,950

⑤ ₩2,100

더보기

정답:  

해설: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가중평균법을 적용하여 매출원가를 계산

1. 가중평균 단가 계산

가중평균법에서는 기초재고와 매입재고의 총 원가를 총 수량으로 나누어 평균 단가를 구합니다.

(1) 기초재고 및 매입재고 총 원가

  • 기초재고: 60 × ₩10 = ₩600
  • 3월 1일 매입: 40 × ₩15 = ₩600
  • 9월 1일 매입: 60 × ₩20 = ₩1,200

총 원가 = ₩600 + ₩600 + ₩1,200 = ₩2,400
총 수량 = 60 + 40 + 60 = 160개

(2) 가중평균 단가

[ 총 원가 ÷ 총 수량 = 2,400 ÷ 160 = ₩15 ]

2. 매출원가 계산

  • 6월 1일 매출: 80 × ₩15 = ₩1,200
  • 12월 1일 매출: 50 × ₩15 = ₩750

총 매출원가 = ₩1,200 + ₩750 = ₩1,950

 

11. (주)한국은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하고 있다. 20×1년 8월 2일 폭우로 창고가침수되어 보관 중인 상품이 모두 소실되었다. 다음은 (주)한국의 총계정원장과 전년도포괄손익계산서에서 얻은 자료이다. 전년도의 매출총이익률이 20×1년에도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20×1년도 재해로 인해 소실된 추정 상품재고액은?

20×1년 8월 2일 현재 총계정원장 자료 전년도 포괄손익계산서 자료
○ 상품계정 차변잔액  ₩30,000
○ 매입계정 차변잔액 ₩400,000
○ 매입환출계정 대변잔액 ₩20,000
○ 매출계정 대변잔액 ₩500,000
○ 매출환입계정 차변잔액 ₩30,00
○ 매출액 ₩900,000
○ 매출원가 ₩630,000



① ₩51,000

② ₩60,000

③ ₩80,000

④ ₩81,000

⑤ ₩101,000

더보기

정답: ④ ₩81,000

해설: 

소실된 상품재고액을 추정하기 위해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하여 계산해 보겠습니다.

1. 매출총이익률 계산

전년도 매출총이익률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액

(900,000 - 630,000) ÷ 900,000 = 30%

2. 당기 매출원가 계산

당기 매출액 = 매출계정 대변잔액 - 매출환입계정 차변잔액

500,000 - 30,000 = 470,000

당기 매출원가 = 당기 매출액 × (1 - 매출총이익률)

470,000 × (1 - 0.30) = 329,000

3. 소실된 상품재고액 계산

소실된 상품재고액 = 기초 상품재고 + 당기 매입 - 당기 매입환출 - 당기 매출원가

30,000 + 400,000 - 20,000 - 329,000 = 81,000

따라서 정답은 ④ ₩81,000 입니다. 😊

 

12. 다음은 화장품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는 (주)한국의 20×1년 말 자료이다. (주) 한국의 20×1년 기말재고자산은? (단, 제시된 금액은 모두 원가 금액이다.)

○ 판매를 위하여 창고에 보관중인 (주)한국의 화장품  ₩700,000
○ 전시관 내 홍보목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주)한국의 화장품  ₩10,000
○ 화장품 생산에 사용하는 (주)한국의 원재료  ₩120,000
○ 선적지인도조건으로 판매한 (주)한국의 화장품 중 현재 선적후 운송 중인 화장품  ₩90,000
○ 위탁판매계약을 하고 수탁자에게 보낸 (주)한국의 화장품 중 기말 현재 판매되지 않은 화장품 ₩50,000
○ 시용판매를 위해 고객에게 보낸 (주)한국의 화장품 중 매입의사표시를 받지 못한 시송품  ₩30,000

 

① ₩900,000

② ₩910,000

③ ₩990,000

④ ₩1,010,000

⑤ ₩1,070,000

더보기

정답:  ① ₩900,000

해설: 

기말재고자산에는 실질적으로 기업의 소유로서 판매 가능하거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만 포함됩니다. 

✅ 1. 판매를 위하여 창고에 보관 중인 화장품: ₩700,000

✔️ 포함 (완제품으로 정상 재고임)

✅ 2. 전시관 내 홍보목적으로 제공 중인 화장품: ₩10,000

→ ❌ 제외 (판매 목적이 아닌 ‘홍보용’ 자산 → 재고자산 제외)

✅ 3. 화장품 생산에 사용하는 원재료: ₩120,000

✔️ 포함 (제조에 사용할 원재료, 재고자산 포함)

✅ 4. 선적지인도조건(FOB Shipping Point) 판매 후 운송 중인 화장품: ❌ ₩90,000 제외

→ 선적지 인도조건이면 선적 시점에 소유권 이전이미 매출로 인식, 재고 아님

✅ 5. 위탁판매계약 후 수탁자에게 보낸 화장품 중 미판매 분: ₩50,000

✔️ 포함
(소유권은 여전히 (주)한국에 있음 → 재고자산 포함)

✅ 6. 시용판매를 위해 고객에게 보냈지만 매입의사표시 없는 화장품: ₩30,000

✔️ 포함
(매출로 아직 인식되지 않았으므로 → 재고자산 포함)

 

  합계 계산

[ 700,000 + 120,000 + 50,000 + 30,000 = ₩900,000 ]

🎯 정답: ① ₩900,000

 

13.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총매출액은?

○ 기초상품재고 ₩6,000  ○ 매출에누리 ₩1,500
○ 총매입액 ₩14,000 ○ 매출할인 ₩2,500
○ 매입환출 ₩1,000 ○ 매출운임 ₩3,000
○ 매입할인 ₩2,000 ○ 매출총이익률 20%
○ 기말상품재고 ₩9,000    

① ₩12,500

② ₩12,750

③ ₩14,000

④ ₩15,250

⑤ ₩17,000

더보기

정답은 ③

1️⃣ 매출원가 계산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 + 총매입액 – 매입환출 – 매입할인 – 기말상품재고

[ 6,000 + 14,000 – 1,000 – 2,000 – 9,000 = 8,000 ]

2️⃣ 총매출액 계산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총매출액

매출총이익 = 총매출액 – 매출원가

이 두 식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만들어집니다:

총매출액 – 8,000 = 0.2 × 총매출액

0.8 × 총매출액 = 8,000총매출액 = 8,000 ÷ 0.8 = 10,000

3️⃣ 총매출액의 정의 적용

문제에서 묻는 총매출액은 순매출액뿐 아니라 매출에누리 + 매출할인을 더한 금액이에요. (매출운임은 별도의 수익으로 간주)

총매출액 = 순매출액 + 매출에누리 + 매출할인

총매출액 = 10,000 + 1,500 + 2,500 = 14,000

 

14. (주)한국은 20×1년 초 사무용 건물(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0, 정액법 상각)을₩800,000에 취득하였다. 건물에 대해 재평가모형을 적용하고 매년 말 재평가한다. 20×1년 말 공정가치가 ₩750,000일 때, 건물과 관련하여 20×1년 말 인식할재평가잉여금은?

① ₩30,000

② ₩40,000

③ ₩50,000

④ ₩75,000

⑤ ₩80,000

더보기

정답: ① ₩30,000

해설:

이 문제는 재평가모형을 적용할 때의 회계처리를 묻고 있어요. 핵심은 감가상각 후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를 비교해서 재평가잉여금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 주어진 정보 요약

  • 취득가액: ₩800,000
  • 내용연수: 10년
  • 잔존가치: ₩0
  •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 재평가일: 20×1년 말
  • 공정가치: ₩750,000

1️⃣ 감가상각비 계산 (1년치)

정액법이므로
→ 연간 감가상각비 = 800,000 ÷ 10 = ₩80,000

2️⃣ 재평가 전 장부금액

→ 800,000 – 80,000 = ₩720,000

3️⃣ 재평가잉여금 계산

→ 공정가치 – 재평가 전 장부금액
→ 750,000 – 720,000 = ₩30,000

✅ 정답: ① ₩30,000

이 금액은 기타포괄손익의 재평가잉여금으로 인식되며, 자본 항목에 직접 반영됩니다.

 

15. 유형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새로운 시설을 개설하는 데 소요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② 기업의 영업 전부를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포함하지 않는다.

③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다른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될 수 있다.

④ 사용중인 유형자산의 정기적인 종합검사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모두 당기비용으로처리한다.

⑤ 유형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효익의 예상 소비형태가 유의적으로 달라졌다면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한다.

더보기

정답은 ④ 

해설:

유형자산의 정기적인 종합검사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일반적인 유지보수 비용은 당기비용으로 처리하지만, 검사 과정에서 주요 부품을 교체하거나 자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에는 자본적 지출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두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는 표현은 부적절합니다.

각 선택지 검토

① 새로운 시설을 개설하는 데 소요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 맞는 설명입니다. 새로운 시설을 개설하는 비용은 일반적으로 운영비용으로 처리됩니다.

② 기업의 영업 전부를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지 않는다. → 맞는 설명입니다. 영업 재배치 비용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③ 유형자산의 감가상각액은 다른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될 수 있다. → 맞는 설명입니다. 감가상각비는 제조원가 등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④ 사용 중인 유형자산의 정기적인 종합검사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모두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일부 비용은 자본적 지출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⑤ 유형자산에 내재된 미래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 형태가 유의적으로 달라졌다면 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감가상각방법은 경제적 효익의 소비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16. 해운업을 영위하는 (주)한국은 20×1년 초 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200,000의해양구조물을 ₩1,400,000에 취득하였다. (주)한국은 해양구조물의 사용이 종료된후해체 및 원상복구를 해야 하는 의무를 부담하는데, 4년 후 복구비용으로 지출할금액은 ₩200,000으로 추정된다. 미래 지출액의 현재가치 계산시 사용할 할인율은연 5%이다. 감가상각방법으로 정액법을 사용할 경우 20×2년도의 감가상각비금액은? (단, 할인율 연 5%, 4기간 단일금액 ₩1의 현재가치는 0.8227이다.)

① ₩300,000

② ₩341,135

③ ₩349,362

④ ₩349,773

⑤ ₩391,135

더보기

정답은 ② ₩341,135  입니다.

해설:

감가상각비를 계산하기 위해 취득원가복구비용의 현재가치를 고려해야 합니다.

1. 복구비용의 현재가치 계산

미래 지출액(₩200,000)의 현재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200,000 × 0.8227 = 164,540 ]

2. 감가상각 대상 금액 계산

감가상각 대상 금액 = 취득원가 + 복구비용의 현재가치 - 잔존가치

[ 1,400,000 + 164,540 - 200,000 = 1,364,540 ]

3. 정액법 감가상각비 계산

정액법에서는 감가상각 대상 금액을 내용연수 동안 균등하게 배분합니다.

[ 1,364,540 ÷ 4 = 341,135 ]

따라서 20×2년도의 감가상각비는 ₩341,135 입니다. 😊

 

17. (주)한국은 20×1년 7월 1일 공장 내 기계장치를 ₩2,000,000에 취득하였다. 동기계장치의 감가상각 및 처분과 관련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형자산 처분손익은? (단, 기계장치는 원가모형을 적용하고, 감가상각비는 월할 계산한다.)

○ 감가상각: 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200,000, 연수합계법 적용
○ 처분일: 20×2년 12월 31일
○ 처분금액: ₩1,000,000

① ₩10,000 손실

② ₩80,000 손실

③ ₩100,000 이익

④ ₩190,000 이익

⑤ ₩260,000 이익

더보기

정답: ① ₩10,000 손실

1. 감가상각비 계산 (연수합계법 적용)

연수합계법에서는 감가상각비를 연수의 합을 기준으로 배분합니다.
내용연수 4년이므로 연수의 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4 + 3 + 2 + 1 = 10 ]

 

1년차(20×1년 7월 1일 ~ 20×2년 6월 30일) 전체 사용,
2년차(20×2년 7월 1일 ~ 12월 31일) 6개월 사용을 반영해야 함.

📌 기본 정보

  • 취득가액: 2,000,000원
  • 잔존가치: 200,000원
  • 내용연수: 4년 → 연수합계 = 4 + 3 + 2 + 1 = 10
  • 감가상각 대상 금액 = 2,000,000 – 200,000 = 1,800,000원
  • 감가상각 방법: 연수합계법 + 월할상각
  • 사용기간: 총 1년 6개월 (첫 해는 전부, 둘째 해는 6개월)

🔢 감가상각 비율 적용

  • 1년차 (전부 사용)
    → 4/10 = 0.4
    → 상각액: 1,800,000 × 0.4 = 720,000원
  • 2년차 (6개월만 사용)
    → 3/10 × 6/12 = 0.15
    → 상각액: 1,800,000 × 0.15 = 270,000원

✅ 감가상각누계액

720,000 + 270,000 = 990,000원

🧾 장부금액 계산

2,000,000 – 990,000 = 1,010,000원

💰 처분손익

처분금액 1,000,000 – 장부금액 1,010,000 = 10,000원 손실

🎯 최종 정답: 10,000원 손실

 

18. 투자부동산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목적이 아닌, 장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보유하고 있는 토지
ㄴ. 미래에 자가사용하기 위한 토지
ㄷ. 장래 용도를 결정하지 못한 채로 보유하고 있는 토지
ㄹ. 금융리스로 제공한 토지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더보기

정답은 ② ㄱ, ㄷ 입니다.

해설:

투자부동산은 임대수익이나 시세차익을 얻기 위해 보유하는 부동산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동산이 이에 해당합니다.

1. 투자부동산에 해당하는 항목

  • ㄱ.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목적이 아닌, 장기 시세차익을 얻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토지 → 투자부동산에 해당합니다.
  • ㄷ. 장래 용도를 결정하지 못한 채로 보유하고 있는 토지 → 자가사용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2. 투자부동산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

  • ㄴ. 미래에 자가사용하기 위한 토지 → 자가사용 목적이 명확한 경우, 투자부동산이 아니라 유형자산으로 분류됩니다.
  • ㄹ. 금융리스로 제공한 토지 → 금융리스로 제공한 토지는 투자부동산이 아니다. 
    • 금융리스로 제공받은 토지 투자부동산으로 간주됩니다.

 

19. (주)한국의 기말 장부상 당좌예금계정 잔액은 ₩130,000이며, 은행으로부터통지받은 잔액은 ₩10,000으로 불일치하였다. 불일치 원인이 다음과 같을 때, (주)한국이 장부에 잘못 기록한 매출채권 회수액(A)은?

○ 매출처로부터 수취하여 은행에 예입한 수표 ₩60,000이 부도 처리되었으나, 기말 현재 은행으로부터 통보받지 못하였다. ○ 은행 업무시간 이후에 ₩70,000을 입금하였으나, 기말 현재 은행 측이 미기입하였다.
○ 매입채무를 지급하기 위하여 ₩30,000의 수표를 발행하였으나, 기말 현재아직은행에서 결제되지 않았다.
○ 은행수수료가 ₩500 발생하였으나, 기말 현재 회사측 장부에 반영되지 않았다.
○ 매출처로부터 매출채권 회수액으로 받은 ₩50,000의 수표를 예입하면서, 회사직원이 A금액으로 잘못 기록하였다.

① ₩30,500

② ₩69,500

③ ₩70,500

④ ₩88,500

⑤ ₩100,500

더보기

정답은 ② ₩69,500 입니다.

해설:

조정표를 이용한 A 금액 계산

조정 후의 회사 측 잔액과 은행 측 잔액은 항상 일치해야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A 값을 찾습니다.

회사 측 조정 잔액: ₩130,000 (장부 잔액) - ₩60,000 (부도수표) - ₩500 (은행 수수료) + (₩50,000 - A) (매출채권 회수액 조정) = ₩69,500 + ₩50,000 - A = ₩119,500 - A

은행 측 조정 잔액: ₩10,000 (은행 통보 잔액) + ₩70,000 (미기입 예금) - ₩30,000 (미결제 수표) = ₩50,000

조정 후 잔액 일치: 회사 측 조정 잔액 = 은행 측 조정 잔액 ₩119,500 - A = ₩50,000

이제 A를 구합니다.

A = ₩119,500 - ₩50,000

A = ₩69,500

 

(주)한국이 장부에 잘못 기록한 매출채권 회수액(A)은 ₩69,500입니다.

정답은 ② ₩69,500 입니다.😊

 

20. (주)한국의 20×1년 초 매출채권은 ₩800,000이며, 매출채권에 대한 손실충당금은₩15,000이다. 20×1년도 매출채권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주)한국이매출채권과 관련하여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할 손상차손은? (단, 매출채권에는 유의적 금융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 20×1년도 매출액은 ₩1,000,000이며, 이 중 외상매출액은 ₩700,000이다.
○ 20×1년도에 감소된 매출채권은 총 ₩1,020,000으로, 이는 현금으로 회수된₩1,000,000과 회수불능이 확정되어 제거된 ₩20,000이다.
○ 20×1년 말 매출채권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은 매출채권 잔액의 2%이다.

① ₩9,600

② ₩10,600

③ ₩14,600

④ ₩15,600

⑤ ₩20,600

더보기

정답은 ③ ₩14,600 입니다.

해설:

손상차손은 회수불능 확정 금액기대신용손실을 합한 후, 기존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1. 기말 매출채권 잔액 계산

[ 기초 매출채권 + 외상매출액 - 감소된 매출채권 ]

[ 800,000 + 700,000 - 1,020,000 = 480,000 ]

2. 기대신용손실 계산

[ 기말 매출채권 잔액 × 기대신용손실률 ]

[ 480,000 × 2% = 9,600 ]

3. 손상차손 계산

[ 회수불능 확정 금액 + 기대신용손실 - 기존 손실충당금 ]

[ 20,000 + 9,600 - 15,000 = 14,600 ]

따라서 정답은 ③ ₩14,600 입니다. 😊

 

21. 취득한 사채(채무상품)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한 경우의회계처리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손상은 고려하지 않는다.)

① 취득과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시점의 공정가치에 가산한다.

② 처분할 경우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 누적된 평가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한다.

③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액은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을 경우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액과 차이가 없다.

④ 액면금액 미만으로 취득(할인취득)한 경우 이자수익 인식금액이 현금으로 수취하는이자금액 보다 크다.

⑤ 이자수익은 매 보고기간 말의 현행 시장이자율을 이용하여 인식한다.

더보기

정답은  

해설:

이자수익은 취득 시 결정된 유효이자율(또는 내재이자율)을 이용하여 인식합니다. 매 보고기간 말의 현행 시장이자율을 이용하는 것은 공정가치를 측정할 때 고려되는 요소일 수 있지만, 이자수익 자체를 인식하는 기준은 아닙니다.

 

22. (주)한국은 20×1년 7월 1일 (주)대한의 주식 200주를 취득일의 공정가치인주당₩1,000에 취득하였다. 취득시 추가로 ₩5,000의 거래원가가 발생하였으며, (주)한국은 해당 주식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 20×1년9월1일 (주)한국은 취득한 주식의 50%를 처분일의 공정가치인 주당 ₩800에 처분하였다. 20×1년 말 (주)대한 주식의 주당 공정가치가 ₩1,300일 때, 동 주식과관련하여 (주)한국의 20×1년 포괄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 증가액은?

① ₩1,000

② ₩2,000

③ ₩3,000

④ ₩4,000

⑤ ₩5,000

더보기

정답: ⑤ ₩5,000

해설:

1. 주식 취득 시 (20×1년 7월 1일)

  원가: 200주 * ₩1,000/주 = ₩200,000

  거래 원가: ₩5,000 (FVPL 금융자산의 경우 거래 원가는 즉시 당기 비용으로 인식)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5,000 (거래 원가로 인한 비용 발생)

 

2. 주식 처분 시 (20×1년 9월 1일)

  주식 수: 200주 * 50% = 100주

  처분 가액: 100주 * ₩800/주 = ₩80,000

  처분 시점 장부 가액: 100주 * ₩1,000/주 = ₩100,000

  처분 손익: ₩80,000 (처분 가액) - ₩100,000 (장부 가액) = -₩20,000 (처분 손실)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20,000 (처분 손실)

 

3. 기말 공정가치 평가 시 (20×1년 12월 31일)

  남은 주식 수: 200주 - 100주 = 100주

  기말 공정가치: 100주 * ₩1,300/주 = ₩130,000

  취득 시점 장부 가액: 100주 * ₩1,000/주 = ₩100,000

  공정가치 평가 이익: ₩130,000 (기말 공정가치) - ₩100,000 (취득 시점 장부 가액) = ₩30,000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30,000 (공정가치 평가 이익)

 

4. 20×1년 당기순이익 증가액

  위에서 계산한 각 항목을 합산하여 당기순이익 증가액을 구합니다.

  총 당기순이익 증가액:

   거래 원가: -₩5,000

   주식 처분 손실: -₩20,000

   기말 공정가치 평가 이익: +₩30,000

   합계: -₩5,000 - ₩20,000 + ₩30,000 = ₩5,000

 

23. (주)한국의 20×1년 말 부채와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 말금융부채는?

○ 충당부채 ₩50,000 ○ 장기차입금 ₩10,000
○ 선수금 ₩30,000 ○ 사채 ₩40,000
○ 매입채무 ₩60,000 ○ 미지급법인세 ₩15,000
○ 미지급금 ₩35,000    

        

① ₩95,000

② ₩110,000

③ ₩120,000

④ ₩145,000

⑤ ₩160,000

더보기

정답: ④ ₩145,000

1. 금융부채 항목 확인

  • 장기차입금 → ₩10,000
  • 사채 → ₩40,000
  • 매입채무 → ₩60,000
  • 미지급금 → ₩35,000

2. 금융부채 총액 계산

[ 10,000 + 40,000 + 60,000 + 35,000 = 145,000 ]

따라서 정답은 ④ ₩145,000 입니다. 😊

 

24. (주)한국은 20×1년 1월 1일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액면금액 ₩1,000,000의 사채(만기 3년, 표시이자율 연 8%, 이자는 매년말 후급)를 ₩950,250에 발행하였다. 동사채와 관련하여 (주)한국이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한 이자비용은 ₩95,025 이다. (주)한국이 20×3년 1월 1일에 동 사채 전부를 ₩980,000에 조기상환하였을때, 인식할 사채상환손익은? (단, 단수차이가 발생할 경우 가장 근사치를 선택한다.)

① 손실 ₩14,725

② 손실 ₩5,296

③ 이익 ₩1,803

④ 이익 ₩9,729

⑤ 이익 ₩20,000

더보기

정답: ③ 이익 ₩1,803

이 문제는 사채 조기상환손익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핵심은 조기상환일의 장부금액실제 상환금액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죠.

📘 주어진 정보 요약

액면금액: 1,000,000원

표시이자율: 연 8% → 매년말 이자 80,000원

발행가액: 950,250원

만기: 3년

유효이자율은 문제에서 직접 주어지지 않았지만,
20×1년 이자비용이 95,025원이므로 유효이자율은 약 10%로 추정됩니다.

조기상환일: 20×3년 1월 1일 (즉, 2년간 이자 지급 후 조기상환)

상환금액: 980,000원

 

20x1년도 기초장부금액: 950,250원, 이자비용(10%): 95,025원, 이자지급액: 80,000원, 기말장부금액: 965,275원

20x2년도 기초장부금액: 965,275원, 이자비용(10%): 96,528원, 이자지급액: 80,000원, 기말장부금액: 981,803원

 

조기상환손익 계산

장부금액(20×3년 1월 1일 기준): 981,803원

상환금액: 980,000원

 

장부금액이 981,803원 이고, 조기상환금이 980,000원 이므로

차이: 981,803    980,000  = 1,803원 이익

 

정답은 ③ 이익 ₩1,803 입니다. 😊

 

25. 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① 소득세예수금

② 미수금

③ 감자차손

④ 받을어음

⑤ 대여금

더보기

정답은 ① 소득세예수금 입니다.

해설:

부채는 기업이 미래에 지급해야 할 의무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등이 포함됩니다.

각 항목 검토

  • ① 소득세예수금 → 부채에 해당합니다. 기업이 직원의 급여에서 원천징수한 세금을 국가에 납부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므로 부채로 분류됩니다.
  • ② 미수금 → 자산입니다. 상품이 아닌 물품(건물, 비품 등)을 매각하고 대금을 나중에 받기로 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 ③ 감자차손 → 자본 항목입니다. 감자로 인해 발생한 손실로, 부채가 아니라 자본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 ④ 받을어음 → 자산입니다. 외상매출금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며, 기업이 받을 금액을 나타냅니다.
  • ⑤ 대여금 → 자산입니다. 기업이 타인에게 돈을 빌려준 경우로, 미래에 받을 금액이므로 부채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소득세예수금 입니다. 😊

 

26. (주)한국의 20×1년 초 자본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보통주자본금(주당 액면금액 ₩500, 총발행주식수 4,000주)  ₩2,000,000
주식발행초과금(보통주)  ₩500,000
 이익잉여금  ₩800,000
자본조정(20×0년 중 주당 ₩1,100에 취득한 자기주식 30주)  ₩(33,000)
자본총계  ₩3,267,000

(주)한국은 20×1년 3월 1일 자기주식 30주를 주당 ₩1,200에 취득하였고, 20×1년6월 30일 자기주식 40주를 주당 ₩1,300에 처분하였으며, 20×1년 10월 1일자기주식 20주를 소각하였다. (주)한국은 20×1년도 당기순손실 ₩200,000과 기타포괄이익 ₩150,000을 보고하였다. 20×1년 말 (주)한국의 자본총계는?

① ₩3,181,000

② ₩3,217,000

③ ₩3,233,000

④ ₩3,305,000

⑤ ₩3,405,000

더보기

정답: ③ ₩3,233,000

1. 자기주식 취득 (3월 1일)

자기주식 30주를 주당 ₩1,200에 취득했으므로, 자본조정에서 차감해야 합니다.

[ 30 × 1,200 = 36,000 ]

자본조정 = (33,000) - 36,000 = (69,000)

2. 자기주식 처분 (6월 30일)

자기주식 40주를 주당 ₩1,300에 처분했으므로, 처분이익을 계산합니다.

[ 40 × 1,300 = 52,000 ]

취득원가(주당 ₩1,200) 기준 처분금액:

[ 40 × 1,200 = 48,000 ]

처분이익 = 52,000 - 48,000 = 4,000
자본조정에서 48,000을 제거하고, 처분이익 4,000을 자본잉여금에 추가합니다.

자본조정 = (69,000) + 48,000 = (21,000)
자본잉여금 = 500,000 + 4,000 = 504,000

3. 자기주식 소각 (10월 1일)

자기주식 20주를 소각했으므로, 자본조정에서 제거해야 합니다.

[ 20 × 1,200 = 24,000 ]

자본조정 = (21,000) + 24,000 = 3,000
자본금에서 액면가 기준 감소:

[ 20 × 500 = 10,000 ]

자본금 = 2,000,000 - 10,000 = 1,990,000
이익잉여금에서 차액(24,000 - 10,000 = 14,000) 차감:

[ 800,000 - 14,000 = 786,000 ]

4. 당기순손실 및 기타포괄이익 반영

  • 당기순손실: (786,000 - 200,000) = 586,000
  • 기타포괄이익: (586,000 + 150,000) = 736,000

5. 최종 자본총계 계산

[ 1,990,000 + 504,000 + 736,000 + 3,000 = 3,233,000 ]

따라서 정답은 ③ ₩3,233,000 입니다. 😊

 

27. (주)한국은 제품 200단위(단위당 취득원가 ₩6,000)를 단위당 ₩10,000에 현금판매하였다. (주)한국은 동 제품판매와 관련하여 제품 판매 후 2주 이내에 고객이반품을 요청하는 경우 전액 환불해 주고 있다. 동 제품판매에 대한 합리적인 반품률추정치가 3%인 경우, (주)한국이 상기 제품의 판매시점에 인식할 매출액은?

① ₩1,200,000

② ₩1,500,000

③ ₩1,680,000

④ ₩1,940,000

⑤ ₩2,000,000

더보기

정답: ④ ₩1,940,000

해설:

  • 총 판매액: 200단위 * ₩10,000/단위 = ₩2,000,000
  • 예상 반품액: ₩2,000,000 * 3% = ₩60,000
  • 인식할 매출액: ₩2,000,000 - ₩60,000 = ₩1,940,000

따라서 (주)한국이 상기 제품의 판매 시점에 인식할 매출액은 ₩1,940,000입니다.😊

 

28. (주)한국은 20×1년 초에 제품을 ₩300,000에 판매(제품을 실질적으로 인도함)하면서, 판매대금 중 ₩100,000은 판매 즉시 수취하고 나머지 ₩200,000은 향후 2년에걸쳐매년 말에 각각 ₩100,000씩 받기로 하였다. 동 거래에는 유의적인 금융요소가포함되어 있고, 판매계약의 할인율은 연 10%로 동 할인율은 별도 금융거래에 적용될할인율에 해당한다. 판매대금의 회수가능성이 확실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품의판매거래로 (주)한국이 20×1년에 인식하게 될 수익의 총액은? (단, 현재가치 계산시다음의 현가표를 이용하며, 단수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가장 근사치를 선택한다.)

기간 연 이자율 10%
단일금액 ₩1의 현재가치 정상연금 ₩1의 현재가치
2 0.8264 1.7355
3 0.7513 2.4868

 

① ₩273,559

② ₩290,905

③ ₩300,000

④ ₩300,905

⑤ ₩330,00

더보기

정답은 ② ₩290,905 입니다.

해설:

유의적인 금융요소가 포함된 판매거래에서는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수익을 인식해야 합니다.

1. 즉시 수취한 금액

판매 즉시 받은 금액은 현재가치 할인 없이 그대로 인식됩니다.

[ 100,000 ]

2.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 계산

향후 2년 동안 매년 말에 ₩100,000씩 받기로 했으므로, 이를 현재가치로 할인합니다.

[ 100,000 × 0.8264 + 100,000 × 0.7513 ]

[ 82,640 + 75,130 = 157,770 ]

3. 총 수익 인식 금액

[ 100,000 + 157,770 = 290,905 ]

따라서 정답은 ② ₩290,905 입니다. 😊

 

29. (주)한국의 당기순이익은 ₩100,000이고, 장기차입금에서 발생한 이자비용은₩5,000이며, 보유하고 있는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비는 ₩11,000이다. 당기 영업활동과 관련된 자산과 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다.

○ 재고자산의 증가 ₩8,000
○ 매출채권(손실충당금 차감후 순액)의 감소 ₩3,000
○ 매입채무의 감소 ₩4,200
○ 선수금의 증가 ₩2,000

(주)한국의 당기 영업활동 순현금유입액은? (단, 이자의 지급과 수취는 각각재무활동과 투자활동으로 분류한다.)

① ₩76,800

② ₩81,800

③ ₩92,800

④ ₩106,000

⑤ ₩108,800

더보기

정답: ⑤ ₩108,800

해설: 

현금흐름표는 간접법으로 작성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영업활동 순현금유입액 = 당기순이익 +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 - 현금유입이 없는 수익 ± 영업활동 관련 자산/부채의 변동

 

1. 당기순이익: ₩100,000

2.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

  • 감가상각비: ₩11,000 (비용이지만 현금유출은 없음, 다시 더해줌)
  • 이자비용: ₩5,000 (문제에서 이자 지급을 재무활동으로 분류한다고 명시했으므로 영업활동 현금흐름 계산 시 다시 더해줍니다. 당기순이익에 이자비용이 차감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3. 영업활동 관련 자산/부채의 변동:

  • 재고자산의 증가 ₩8,000: 자산의 증가는 현금 유출을 의미하므로 차감 (₩8,000)
  • 매출채권의 감소 ₩3,000: 자산의 감소는 현금 유입을 의미하므로 가산 (₩3,000)
  • 매입채무의 감소 ₩4,200: 부채의 감소는 현금 유출을 의미하므로 차감 (₩4,200)
  • 선수금의 증가 ₩2,000: 부채의 증가는 현금 유입을 의미하므로 가산 (₩2,000)

4. 최종 계산

정답은 ⑤ ₩108,800 😊

 

30. (주)한국의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은 ₩510,000이고, 우선주(비참가적, 비누적적)배당금은 ₩30,000이다. (주)한국의 20×1년도 기본주당순이익이₩30일 때,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① 12,000주

② 13,000주

③ 15,000주

④ 16,000주

⑤ 17,000주

더보기

정답: ④ 16,000주

해설: 

기본주당순이익(EPS)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기본주당순이익 = 보통주 귀속 당기순이익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 보통주 귀속 당기순이익 계산

우선주 배당금을 차감하여 보통주 귀속 당기순이익을 구합니다.

510,000 - 30,000 = 480,000

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계산

주어진 기본주당순이익(₩30)을 이용하여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구합니다.

480,000 ÷ 30 = 16,000주

따라서 정답은 ④ 16,000주 입니다. 😊

 

31. (주)한국의 당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이고, 부채비율(=부채/자본)은200%이며, 총자산은 ₩3,000,000이다. 당기 매출액순이익률이 5%일 때, 당기 매출액은? (단, 자산과 부채의 규모는 보고기간 중 변동이 없다.)

① ₩1,000,000

② ₩1,500,000

③ ₩2,000,000

④ ₩2,500,000

⑤ ₩3,000,000

더보기

정답: ③ ₩2,000,000

해설: 

1. 자기자본 계산

부채비율이 **200%**이므로, 자기자본을 구할 수 있습니다.

[ 자기자본 = 총자산 ÷ (1 + 부채비율) ]

[ = 3,000,000 ÷ (1 + 2) = 3,000,000 ÷ 3 = 1,000,000 ]

2. 당기순이익 계산

ROE(자기자본이익률) 공식에 따라 당기순이익을 구합니다.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ROE ]

[ = 1,000,000 × 10% = 100,000 ]

3. 당기 매출액 계산

매출액순이익률 공식에 따라 매출액을 구합니다.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매출액순이익률 ]

[ = 100,000 ÷ 5% = 100,000 ÷ 0.05 = 2,000,000 ]

따라서 정답은 ③ ₩2,000,000 입니다. 😊

 

32. (주)한국의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다.

손익구성항목 금 액
매출액  ₩1,000,000 
매출원가 ₩(600,000)
매출총이익  ₩400,00
기타영업비용  ₩(150,000)
영업이익  ₩250,000 
이자비용  ₩(62,500)
당기순이익  ₩187,500

(주)한국의 20×2년도 손익을 추정한 결과, 매출액과 기타영업비용이 20×1년도보다 각각 10%씩 증가하고, 20×2년도의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20×1 년 대비 1.25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매출원가율이 20×1년도와 동일할 것으로예측될 때, (주)한국의 20×2년도 추정 당기순이익은?

① ₩187,500

② ₩200,000

③ ₩217,500

④ ₩220,000

⑤ ₩232,000

더보기

정답: ④ ₩220,000

해설: 

1. 매출액 증가 반영

매출액이 10% 증가하므로,

1,000,000 × 1.10 = 1,100,000

2. 매출원가 계산

매출원가율이 동일하므로,

600,000 ÷ 1,000,000 = 60%

따라서 20×2년도의 매출원가는

1,100,000 × 60% = 660,000

3. 매출총이익 계산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1,100,000 - 660,000 = 440,000

4. 기타영업비용 증가 반영

기타영업비용이 10% 증가하므로,

150,000 × 1.10 = 165,000

5. 영업이익 계산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기타영업비용

440,000 - 165,000 = 275,000

6. 이자비용 계산

이자보상비율이 1.25배 증가하므로,

이자비용 = 영업이익 ÷ (이자보상비율 × 기존 이자비용)

275,000 ÷ (250,000 ÷ 62,500 × 1.25) = 55,000

7. 당기순이익 계산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이자비용

275,000 - 55,000 = 220,000

따라서 정답은 ④ ₩220,000 입니다. 😊

 

 

33. (주)한국의 20×1년 발생 원가는 다음과 같다.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10,000 ₩20,000  ₩24,000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 20×1년 기초재공품이 ₩5,000이고, 기말재공품이 ₩4,000일 때, 20×1년 당기제품제조원가는?

① ₩52,000

② ₩53,000

③ ₩54,000

④ ₩55,000

⑤ ₩56,000

더보기

정답: ④ ₩55,000

해설: 

당기제품제조원가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 + 당기총제조원가 - 기말재공품

1. 당기총제조원가 계산

당기총제조원가 = 직접재료원가 + 직접노무원가 + 제조간접원가

10,000 + 20,000 + 24,000 = 54,000

2. 당기제품제조원가 계산

당기제품제조원가 = 5,000 + 54,000 - 4,000

= 55,000

따라서 정답은 ④ ₩55,000 입니다. 😊

 

34. (주)한국은 두 개의 보조부문(S1, S2)과 두 개의 제조부문(P1, P2)을 운영하며, 단계배부법을 사용하여 보조부문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분한다. 보조부문원가배분전 S1에 집계된 원가는 ₩120,000이고, S2에 집계된 원가는 ₩110,000이다. 부문간의 용역수수관계가 다음과 같을 때, P1에 배분될 총 보조부문원가는? (단, S1 부문원가를 먼저 배분한다.)

구분 사용
S1 S2 P1 P2
제공 S1 20% 20% 20% 40%
S2 30% - 42% 28%

① ₩88,800

② ₩96,000

③ ₩104,400

④ ₩106,000

⑤ ₩114,000

더보기

정답: ⑤ ₩114,000

해설:

단계배부법을 사용하여 P1에 배분될 총 보조부문원가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S1 부문원가를 먼저 배분합니다.

1단계: S1 원가 배분 (총 ₩120,000)

S1은 S2, P1, P2에 용역을 제공합니다. S1이 S1 자신에게 제공하는 20%는 무시합니다. S1이 제공하는 용역의 총 비율은 S2 (20%) + P1 (20%) + P2 (40%) = 80%입니다. 따라서, S1 원가를 S2, P1, P2에 20%:20%:40%의 비율로 배분합니다.

  • S1에서 S2로 배분:
  • S1에서 P1으로 배분:
  • S1에서 P2로 배분:

2단계: S2 원가 배분

이제 S2는 기존 원가 ₩110,000에 S1으로부터 배분받은 ₩30,000을 더한 총 원가를 제조부문에만 배분합니다. (단계배부법이므로 S1에는 더 이상 배분하지 않습니다.)

  • S2의 총 원가: ₩110,000 (기존) + ₩30,000 (S1에서 배분받은 원가) = ₩140,000

S2는 P1과 P2에 용역을 제공합니다. (S2가 S1에 제공하는 30%는 무시하고, S2 자신에게 제공하는 것도 무시합니다.) S2가 제공하는 용역의 총 비율은 P1 (42%) + P2 (28%) = 70%입니다. 따라서, S2의 총 원가 ₩140,000을 P1과 P2에 42%:28%의 비율로 배분합니다.

  • S2에서 P1으로 배분:
  • S2에서 P2로 배분:

3단계: P1에 배분될 총 보조부문원가 계산

P1이 S1과 S2로부터 배분받은 원가를 합산합니다.

  • S1에서 P1으로 배분된 원가: ₩30,000
  • S2에서 P1으로 배분된 원가: ₩84,000
  • P1에 배분될 총 보조부문원가: ₩30,000 + ₩84,000 = ₩114,000

따라서 P1에 배분될 총 보조부문원가는 ₩114,000입니다.😊

 

35. (주)한국은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한다.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고정제조간접원가 조업도차이는? (단, 재공품 재고는 없다.)

○ 고정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119,700
○ 제품 단위당 표준기계시간: 8시간
○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 ₩6,300(유리)
○ 기준조업도: 4,200기계시간
○ 목표 제품 생산량: 525단위
○ 실제 제품 생산량: 510단위

① ₩0

② ₩3,240(유리)

③ ₩3,240(불리)

④ ₩3,600(유리)

⑤ ₩3,600(불리)

더보기

정답: ⑤ ₩3,600(불리)

해설: 

고정제조간접원가 조업도차이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1.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액 계산

  • 고정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119,700
  •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차이: ₩6,300 (유리)

예산차이가 유리하다는 것은 실제발생액이 예산액보다 적었다는 의미입니다.

2.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율 계산

  • 기준조업도: 4,200기계시간
  • 고정제조간접원가 배부율 =

3. 실제 조업도(표준시간) 계산

  • 실제 제품 생산량: 510단위
  • 제품 단위당 표준기계시간: 8시간
  • 실제 조업도(표준시간) =

4. 고정제조간접원가 조업도차이 계산

조업도차이는 예산조업도(기준조업도)와 실제조업도(표준시간)의 차이에 표준배부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음수(-)는 불리한 차이를 의미합니다. 기준조업도보다 실제 조업도가 적게 발생했으므로 생산 활동이 비효율적이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고정제조간접원가 조업도차이는 ₩3,600 (불리) 입니다.😊

 

36. 단일 제품을 생산하는 (주)한국은 선입선출법을 적용하여 종합원가계산을한다. 전환원가(가공원가)는 전체 공정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생산 관련 자료는다음과 같으며, 괄호 안의 숫자는 전환원가 완성도를 의미한다.

기초재공품 당기착수량  기말재공품
100단위 (40%) 1,000단위  200단위 (50%)

기초재공품 원가에 포함된 전환원가는 ₩96,000이고, 당기에 발생한 전환원가는₩4,800,000이다.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전환원가는? (단, 공손과 감손은 발생하지않는다.)

① ₩4,800

② ₩4,896

③ ₩5,000

④ ₩5,100

₩5,690

더보기

정답: ③ ₩5,000

해설: 

전환원가(가공원가)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를 선입선출법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1. 완성된 수량 계산

  • 기초재공품: 100단위
  • 당기착수량: 1,000단위
  • 기말재공품: 200단위

2. 전환원가 완성품환산량 계산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에서는 기초재공품을 먼저 완성하고, 그 다음 당기착수량을 완성하는 것으로 봅니다.

  • 기초재공품 완성분:
    • 완성도 100%를 기준으로 이미 40%가 완성되었으므로, 당기에 추가로 투입된 전환원가는 60%에 해당합니다.
  • 당기착수 완성분:
    • 당기착수 완성분은 당기에 100% 투입된 것으로 봅니다.
  • 기말재공품 전환원가 환산량:
  • 총 전환원가 완성품환산량:

3.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전환원가 계산

선입선출법에서는 당기에 발생한 원가만을 사용합니다.

  • 당기에 발생한 전환원가: ₩4,800,000

따라서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전환원가는 ₩5,000입니다.

 

37. (주)한국의 20×1년 기초 제품재고수량은 없고, 기말 제품재고수량은 1,000단위이다. 단위당 변동제조원가는 ₩400이고, 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는 ₩100이다. 20×1년전부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은 변동원가계산에 의한 영업이익보다 얼마 더많은가? (단, 재공품은 없다.)

① ₩100,000

② ₩200,000

③ ₩300,000

④ ₩400,000

⑤ ₩500,000

더보기

정답: ① ₩100,000 

해설: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차이는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처리 방식에서 발생합니다.

1. 고정제조간접원가의 차이 계산

전부원가계산에서는 고정제조간접원가가 제품원가에 포함되므로, 기말 제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계산해야 합니다.

기말 제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 = 기말 제품재고수량 × 단위당 고정제조간접원가

1,000 × 100 = 100,000

2. 영업이익 차이 계산

전부원가계산에서는 기말 제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접원가가 비용으로 인식되지 않으므로, 변동원가계산보다 영업이익이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100,000 입니다. 😊

 

38. (주)한국은 20×1년 단위당 판매가격이 ₩500이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300인단일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총고정원가는 ₩600,000이고, (주)한국에 적용되는법인세율은 20%이다. 20×1년 법인세차감후순이익 ₩40,000을 달성하기 위한 20×1년제품 판매수량은?

① 2,500단위

② 2,750단위

③ 3,000단위

④ 3,250단위

⑤ 3,500단위

더보기

정답: ④ 3,250단위

해설: 

1. 공헌이익 계산

공헌이익 = 단위당 판매가격 - 단위당 변동원가

500 - 300 = 200

2. 세전이익 계산

법인세차감후순이익이 40,000원이므로, 세전이익을 구합니다.

세전이익 = 법인세차감후순이익 ÷ (1 - 법인세율)

40,000 ÷ 0.8 = 50,000

3. 목표 판매수량 계산

목표 판매수량 = (총고정원가 + 세전이익) ÷ 공헌이익

(600,000 + 50,000) ÷ 200 = 3,250단위

따라서 정답은 ④ 3,250단위 입니다. 😊

 

39. (주)한국은 단일제품을 생산ㆍ판매한다.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1,000, 단위당 변동원가는 ₩500, 총고정원가는 ₩1,800,000이다. 10월 중에 700단위를단위당 ₩600에 구입하겠다는 특별주문을 받았다. 유휴생산능력은 충분하지만 700단위를 추가생산하기 위해 초과근무수당이 단위당 ₩80씩 추가 발생할 것으로예상된다. 이 특별주문을 수락하는 것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단, 특별주문은정규 판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① ₩14,000 증가

② ₩14,000 감소

③ ₩16,000 증가

④ ₩16,000 감소

⑤ ₩24,000 감소

더보기

정답: ① ₩14,000 증가

해설: 

특별주문을 수락하는 것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1. 특별주문으로 인한 총 매출액

특별주문으로 판매되는 제품 수량: 700단위
특별주문 단위당 판매가격: ₩600

총 매출액 = 700 × 600 = ₩420,000

2. 특별주문으로 인한 총 비용

  • 단위당 변동원가: ₩500
  • 초과근무수당: ₩80

총 비용 = (700 × 500) + (700 × 80)
= 350,000 + 56,000
= ₩406,000

3. 특별주문으로 인한 영업이익 변화

영업이익 변화 = 총 매출액 - 총 비용

420,000 - 406,000 = ₩14,000 증가

따라서 정답은 ① ₩14,000 증가 입니다. 😊

 

40. (주)한국은 제품 단위당 2kg의 재료를 사용하며, 재료의 kg당 가격은 ₩50이다. (주)한국은 다음 분기 재료 목표사용량의 30%를 분기말 재료 재고로 유지한다. 2분기 목표생산량은 1,000단위이고, 3분기 목표생산량은 1,200단위이다. 2분기의재료구입 예산은? (단, 재공품 재고는 없다.)

① ₩94,000

② ₩100,000

③ ₩106,000

④ ₩112,000

⑤ ₩120,000

더보기

정답:    106,000원

해설: 

1. 총 재료 필요량 계산

제품 단위당 재료 사용량: 2kg
2분기 목표 생산량: 1,000단위

총 재료 필요량 = 1,000 × 2 = 2,000kg

2. 기말 재료 재고 계산

3분기 목표 생산량의 30%를 기말 재고로 유지하므로,

기말 재료 재고 = (1,200 × 2) × 30%
= 2,400 × 0.30
= 720kg

3. 기초 재고 (Beginning inventory)

  • 2분기 말 기초 = 1분기 말 재고 = 2분기 사용량의 30%
    → 2,000 × 0.30 = 600 kg

4. 분기별 구매량 (Purchases)

  • 공식: 필요량 + 기말 재고 – 기초 재고
    → 2,000 + 720 – 600 = 2,120 kg

5. 금액 환산

  • kg당 가격 = 50원
    → 2,120×50 = 106,000원

따라서 정답은  106,000원 입니다. 😊

* 쿠팡에서 구매하실 때, 아래 링크로 접속하시면 본 블로그 운영자에게 도움이 됩니다.

 

 

 

 

로켓배송으로 빠르게, 로켓와우 멤버십으로 할인과 무료 반품까지 | 쿠팡

쿠팡 로켓배송, 로켓프레시, 로켓직구, 로켓럭셔리까지 쿠팡 멤버십으로 모든 혜택을 한 번에 누려보세요. 쿠팡 로켓와우 멤버는 무료배송도 가능합니다.

www.coupang.com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