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상은 서로 돕고 도울 때 더 좋은 방향으로 한 걸음 나아갑니다.
  • 오늘도 서로 도우며,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 보아요.
  • 오늘의 이 한 걸음이 우리를 성공으로 이끕니다.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창호 및 유리공사

by 보나삶한걸음 2023. 3. 28.

창호의 분류

1. 개폐방식에 따른 분류

  • 미닫이문 - 엘리베이터 문, 상하문틀에 한 줄로 홈을 파야 한다. 벽 속으로 들어간다. 마중대가 사용된다.
  • 미서기문 - 미닫이와 비슷한데 겹쳐지는 문, 두 줄 이상으로 홈을 파야 한다. 벽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여밈대를 사용하여 공기의 유통을 막는다. 측면에 부착하는 잠금장치를 크레센트라 한다.
  • 여닫이문 - 반드시 경첩(돌절귀)이 있음
  • 자재문 - 양방향으로 열림
  • 접문 - 접혀지는 문, 문과 문 사이에 경첩으로 연결, 상부에 레일이 있고 행거에 걸어서 사용, 큰 방을 분할하는 용도
  • 회전문 - 인원수를 조절하는 효과, 방풍효과, 화재시에는 접혀서 통과가 용이하도록 한다.
  • 오르내리창 - 무게추가 있어서 오르내림이 쉽도록 하고 있다. 올렸을 때 고정되는 장치 - 크레센트, 여밈대가 사용된다.

2.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 플러쉬문 - 울거미(문 자체의 틀)를 짜고, 중간에 뼈대를 구성하고 양쪽에 통판을 덛붙여 만든 문, 울거미가 보이지 않음 (요즘 아파트 방문)
  • 양판문 - 울거미를 짜고 울거미 사이에 판자를 대어 만든 문, 울거미가 보임 (옛날 문)
  • 비늘살 창호 (갤러리 창) - 차양과 통풍을 위한 창호, 옷방 등에 사용될 수 있음
  • 무테문 - 울거미가 없는 문, 강화유리 문
  • 아코디언 도어 - 넓은 공간을 분리하는 문
  • 주름문 - 창살형 문, 외국의 엘리베이터, 전당포 등에 사용
  • 도듬문 - 전통 한옥에서 창호지를 붙이는 문

 

창호철물

  • 경첩(힌지, hinge) - 경첩에는 중앙에 핀이 있으며, 핀을 감싸고 있는 것이 너클이다.
  • 자유경첩(스프링힌지) - 자재문에 사용되는 경첩, 양쪽(안쪽, 바깥쪽)으로 열리게 한 경첩 
  • 피봇힌지 - 철재 방화문에 사용되는 힌지. 자동장치 없음. 우거운 문에 사용됨
  • 플로어힌지(바닥지도리) - 무테문, 강화유리문 등에 사용되는 힌지로, 바닥에 매설되는 힌지. 90° 이상 열면 고정되고, 90° 미만으로 열면 자동으로 닫히는 힌지
  • 레버토리힌지 - 자동으로 닫히는 힌지로, 10~15 cm정도 열려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 공중화장실, 공중전화박스 등
  • 나이트래치(함자물쇠) - 밖에서는 열쇠로 열고, 안에서는 손잡이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
  • 도어스테이 - 열려진 문을 버티어 고정하는 장치. 일명 말굽
  • 도어체크(도어 클로저) - 열려져 있는 여닫이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장치
  • 창개폐조정기 - 여닫이창에서 바람 등에 확 열려서 창의 유리가 깨질 수 있으므로, 적당히 열리도록 하는 장치
  • 도어스톱 - 열려진 문을 받쳐서 벽과 문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 도어체인 - 여닫이 문에서 조금만 열리고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
  • 크레센트 - 미석이 문에서 문의 측면에 부착하는 잠금 장치, 오르내리창에서 창문을 올린 후 고정하는 장치
  • 실리더자물쇠 - 방문 등에 사용되는 담금장치가 내장된 손잡이. 안쪽에서 실린더를 눌러서 담그고, 바깥에서는 열쇠로 열도록 하는 장치

 

유리의 종류

  • 강화유리 -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한 후 급랭한 유리로서 보통의 판유리보다 충격강도가 커서 안전유리라고도 한다. 현장가공은 불가하다.
  • 망입유리 - 유리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한 유리. 도난 방지, 화재 및 연소방지용으로 쓰인다.
  • 복층유리 - 두 유리 사이에 공기층을 둔 유리, 접유리, 이중유리, 단열 및 방서, 방음 효과가 있음. 현장가공 불가
  • 로이유리(low-e glass) - 유리표면에 금속을 코팅하여 적외선 방사량을 줄인 유리, 복층유리 형태로 제작됨. 에너지 절약형 유리, 가시광선의 유입 정도가 커서 자연채광의 효과가 좋음, 컬러유리 가능
  • 접합유리 - 유리와 유리 사이에 중간막을 두어 접합한 유리로서 파괴시에 유리파편이 비산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자동차 유리) , 강화유리와 고강도 필름을 적층하여 방탄유리로 제작할 수 있다.
  • 열선흡수유리 - 판유리에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유리로서, 적외선이 잘 투과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 열선반사유리 - 판유리 표면에 금속산화물의 얇은 막을 코팅하여 입힌 유리로서, 경면효과가 발생하는 성질을 갖는다.
  • 스팬드럴유리 - 판유리의 한쪽 면에 세라믹질 도료를 코팅하여 불투명하게 제작한 유리이다. 현장가공 불가.
  • 액정조광유리 - 액정을 사용하여 태양광의 유입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한 고기능성 유리.
  • 에칭유리 - 장식목적의 유리
  • 배강도유리 - 플로트판유리를 연화점 이하로 가열한 후 냥각공기를 흡착시켜서 유리의 표면에 20~60N/mm²의 압축응력을 갖도록 한 유리. 내풍압 강도 및 열깨짐 강도등이 2배 이상의 성능을 가짐. 내풍압 강도가 우수하여 건축물의 외벽이나 개구부에 사용된다. 현장가공 불가.

 

기타 정리

  • 멀리언(중간선대) - 유리 창호의 면적이 클 때, 진동때문에 파손을 방지하고자 사용하는 창틀을 멀리언이라 한다.
  • 알루미늄창호의 특징 - 가볍고 기밀성이 우수하다. 알칼리에 부식할 수 있어서 방청도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와 격리하여야 한다. 이온화경향차에 의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이종 금속을 함께 사용하면 안된다. 제작이 용이하고 미관이 미려하다. 내화성이 약하다. (불에 약하다.)  단열에 불리하므로 최근에는 플라스틱 재료의 창호를 사용한다.
  • 셋팅블록 - 프레임에 유리 장착 시, 파손을 피하기 위해, 유리의 하부와 프레임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끝에서 1/4되는 지점에 각각 1개씩(총 2개) 셋팅블록을 설치하고 유리를 올린다.
  • 배수구멍은 5mm  이상의 지름으로 2개 이상 두어야 한다. 셋팅블록이 배수구멍을 막지 않도록 한다.
  • 복층유리는 20매 이상 적치하면 안 되고(최대 19장 적치가능), 각각의 유리 사이에는 완충재를 두어 보관한다.
  • 공사의 기후·기온조건 - 4℃ 이상의 기온에서 공사하고 우천시는 피한다. 실란트의 경우에는 상대습도 90% 이하에서 공사한다. 이 이외의 조건에서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후 공사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