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키워드
- 적산: 공사에 필요한 공사량을 산출하는 것
- 견적: 적산량(공사량) x 단가 = 공사비
- 표준품셈: 단위작업당 소요되는 재료량이나 인력량의 표준적인 량을 미리 산출해 놓은 것 , 매년 달라질 수 있다.
- 정미량: 설계도면상의 수량
- 소요량: 정미량 + (정미량 x 각 재료의 할증률)
- 명세견적: 입찰견적, 상세견적, 최종견적
- 개산견적: 개략적인 공사비를 산출할 때 편리함, 개념견적, 기본견적
공사비용의 구성
- 재료비 = 직접재료비( ) + 간접재료비(소모재료비, 소모공구, 가설재료비 )
- 직접공사비 = 재료비+노무비+경비+외주비
- 공사원가 =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경비: 전력비, 특허권사용료, 운반비, 기술료, 연구개발비, 품질관리비, 가설비, 보험료, 산업안전관리보건비 등
- 총원가 = 공사원가(순공사비) + 일반관리비(기업유지를 위한 관리활동 부분에서 발생하는 비용)
- 총공사비 = 총원가 + 부가이윤
재료별 할증률
- 1% - 유리
- 2% - 도료
- 3% - 이형철근, 내화벽돌(붉은 벽돌, 구워서 만든 것), 고장력볼트, 타일(구워서 만든 것), 일반용 합판
- 4% - 콘크리트 블록, 자갈
- 5% - 시멘트(콘크리트) 벽돌, 합성수지 타일, 마감용 합판, 목재(각재), 석고보드, 원형철근, 강관, 리벳
- 7% - 대형 형강(10mm 이상)
- 10% - 단열재(스티로폼), 조경용 수목, 잔골재, 채움재
콘크리트의 중량 및 소요량 계산
- 무근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300kg/m³이다.
- 철근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400kg/m³이다.
- 콘크리트의 체적계산 시 배근된 철근은 제외하지 않는다.
- 재료단가에 운반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운반비를 추가할 수 있다.
품의 할증률
- 2~5층: 1%
- 10층 이하: 3%
- 5층 증가 시마다: 1%씩 증가
- 20층 - 5%
- 30층 - 7%
벽돌수량산출
- 벽돌량(정미량) = 벽면적 x 벽두께(단위수량)
- 벽돌량(소요량) = 벽면적 x 벽두께(단위수량) x (할증율 + 1)
- 벽두께 단위수량 : 0.5B = 75매, 1.0B = 149매, 1.5B = 224매, 2.0B = 298매
블록수량 산출
- 표준 블록의 크기(길이x높이x두께) : 390 x 190 x (190, 150, 100)
- 정미량 산출 시 줄눈너비 고려하면(길이x높이) : 0.4m x 0.2m
- 단위면적당 정미량 = 1 x 0.4 x0.2 = 12.5장/m²
- 단위면적당 소요량 = 12.5 x 1.04 = 13장/m²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장공사 (0) | 2023.04.24 |
---|---|
급수설비 (2) | 2023.04.23 |
주택관리사 23회 1차 공동주택 시설개론 기출문제 정답 및 해설 (4) | 2023.04.21 |
창호 및 유리공사 (0) | 2023.03.28 |
철골구조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