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장 재료의 종류별 특징
- 유성페인트는 알칼리바탕에는 칠할 수 없다. 고온 고열을 받는 장소는 칠할 수 없다. 목재 바탕에 가능하다. 건성유+건조제+안료+희석재(시너)
- 수성페인트 - 내알칼리 도료이므로 콘크리트 모르타르 바탕에 도장가능하다. 내수성·내구성·내후성이 떨어진다.
- 래크(lake) - 휘발성 바니시의 한 종류. 천연수지가 주체가 된 휘발성 페인트, 목재∙내부용∙가구용으로 사용됨.
- 래커(락카) - 휘발성 바니시의 한 종류. 합성수지가 주체가 된 휘발성 페인트, 목재∙금속면 등 외부용으로 사용됨. 내후성이 우수하다. 건조속도가 가장 빠르다. 해서, 뿜칠로만 시공이 가능하다.
- 유성바니시 - 투명도료, 나무바탕에 적합. 유성바니시는 내후성이 덜어진다. 유성페인트보다 내후성이 떨어짐. 옥외용 부적합. 건조속도가 느리다.
- 에멀션페인트 - 에멀션화하여 수용성으로 만든 합성수지 계통의 페인트. 콘크리트면에 시공가능. 발수성이 있고, 내외부 도장에 널리 사용됨.
- 에나멜페인트 - 유성바니시 + 안료. 금속바탕에 주로 사용. 목재바탕에도 사용가능하다. 광택이 우수하다. 내후성 및 내수∙ 내열∙내약품성이 우수하다.
바름공법
- 솔질(붓칠) - 돼지 털을 사용한 붓을 사용한다.
- 롤러 - 도막두께가 일정하지 않다. 시작은 두껍고 끝 부분은 얇게 칠해진다.
- 뿜칠 -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2021.1.1. 부터는 공동주택 도장공사 시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뿜칠을 할 수 없고, 롤러방식(붓칠방식 포함)으로 하여야 한다.
도장공사 시방서
- 가사시간 - 작업이 가능한 시간
- 눈먹임 - 목재바탕을 메우는 작업.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결함을 메우는 퍼티와 구분할 것
- 도막 - 칠한 도료가 건조한 후 생긴 고체피막
- 도막두께 - 경화 후의 두께를 말한다.
- 도포량 - 단위면적당 도재재료(희석하기 전)의 부착질량. kg/m²으로 나타낸다.
- 바탕 - 피도물, 목재, 콘크리트, 강재 등 도장할 재료의 표면
- 바탕처리 - 바탕에 대해서 도장에 적절하도록 행하는 처리. 즉, 녹 기름, 흠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작업
- 하도(프라이머) - 바탕면에 칠하는 작업
- 중도 - 하도와 중도 도막 사이의 부착력 증가. 조합 도막층 두께의 증가. 평면 또는 입체성 증가를 위해 실시한다.
- 상도 - 마무리로 도장하는 작업
- 연마지 - 도막 등을 갈기 위한 연마재료. 연마입자를 종이 또는 헝겊에 부착시킨 것
- 연마 - 도막 또는 도막층을 연마재로 연마해서 정해진 상태까지 깍아내는 작업
- 연마마무리 - 래커 도장 등의 최종 공정에서 도막을 연마하는 것, 폴리싱 콤파운드, 폴리싱 왁스 등을 사용한다.
- 조색 - 혼합하여 희망하는 색상을 만들어 내는 과정
- 착색 - 바탕에 색을 넣는 작업.
- 착색력 - 안료의 성질
- 희석재 - 도료의 점도 조절, 일반적으로 유성페인트는 시너를 사용한다. 수성페인트에서는 물을 사용한다. 희석재의 배합비는 질량비로 한다.
- 퍼티 - 바탕의 파임, 균열, 구멍등을 메워 바탕의 평평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살붙임용의 도료. 안료분을 많이 함유한다.
도장 관련 주요 용어
- 건조제 - 건조를 촉진시키는 재료. 많으면 균열발생.
- 안료 - 물, 기름, 알코올 등에 분해되지 않는 불투명한 유색의 분말. 바탕을 기밀하게 하며 내구력을 증진시킨다.
- 광명단 - 철재에 도장하는 녹막이 또는 방청페인트
- 징크로메이트 - 알루미늄 초벌 녹막이칠에 사용.
- 은폐불량 - 하도가 보이는 현상
가연성 도료의 보관 - 전용창고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내화구조 또는 방화구조로 구획된 장소는 건축물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지붕은 불연재를 사용하고, 천장은 설치하지 않는다. 바닥재료는 침투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한다.
도장공사의 바탕
- 목재면 바탕만들기는 바탕 연마와 도막 마무리연마의 2단계로 행한다.
- 철재면 바탕만들기에서는 바탕재 조립 전에 한다.
- 아연 도금면 바탕 만들기에서 인산염 피막처리를 하면 밀착이 우수하다.
- 플라스터면(회반죽으로 칠한 면)은 도장하기 전에 충분히 건조해야 한다.
- 기온 5℃ 미만에서는 수성도료의 도장공사를 피한다.
도장공사 시 주의사항
- 옥외도장의 경우 강풍시 작업불가 - 먼지 등 이물질 부착이 증가
- 기온 5℃ 미만, 다습한(상대습도 85% 초과하거나 눈 또는 비가 내리거나 안개가 낄 때) 조건에서는 작업을 중지한다.
- 야간작업 불가 - 정확한 색상 구분이 어려움
- 초벌칠 ⇨ 충분히 건조 ⇨ 재벌칠 ⇨ 충분히 건조 ⇨ 정벌칠 의 3 공정으로 칠 한다. 하도, 중도, 상도라 한다.
- 얇게 여러번 칠하는 것이 좋다.
- 건조시간 - 온도 20도 75% 조건에서 정한다. 다음 작업까지의 최소시간으로 정한다.
- 서서히 건조시킨다. 급격한 건조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 여러 번 칠할 경우에는 횟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연한 색을 먼저 칠하고 점차 진한색 순으로 칠한다.
- 칠 작업용 비계발판의 안전성에 주의한다.
- 줄눈은 티가 없게 바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