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리사/주택관리사 민법

⚖️ 민법 제1조 기반 – 법원의 체계도

by 보나삶한걸음 2025. 5. 21.
반응형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민법 법원의 체계도 이미지
민법 법원의 체계도

📘 민법 제1조 (법원의 순서)

민사에 관하여 법률에 규정이 없으면 관습법에 의하고, 관습법이 없으면 조리에 의한다.


⚖️ 민법의 법원 체계 요약

법률  ← 제1차적 법원 (민법, 민소법, 특별법 등)
↓ 없으면
관습법 ← 제2차적 법원 (분묘기지권, 온천권 등)
↓ 없으면
조리  ← 제3차적 법원 (자연법·사회통념·형평의 원칙 등) 
 

📌 보충적 법원

  • 대법원규칙
  • 국제조약 및 일반적 국제법규 (헌법 제6조)
  • 헌법재판소 결정

✅관련 기출 변형문제 3제


문제 1

민법상 ‘법원의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리는 법률보다 우선 적용된다.
② 관습법은 성문법이 아니므로 민법의 법원이 될 수 없다.
③ 대법원규칙은 민법 제1조상의 법원이다.
④ 법률에 규정이 없을 경우, 조리보다 먼저 관습법을 적용한다.
⑤ 국제조약은 헌법상 법원이 될 수 없으므로 민법에 적용되지 않는다.

정답: ④


문제 2

다음 중 관습법으로 인정된 권리가 아닌 것은?
① 분묘기지권
② 관습상 법정지상권
③ 온천권
④ 상속결격의 예외 인정
⑤ 양도담보

정답: ④
(※ 상속결격은 법률 규정이 우선. 예외는 관습법이 아님)


문제 3

다음 중 민법 제1조에서 규정한 조리에 해당하는 것은?
① 판례
② 사회질서에 반하지 않는 상관행
③ 국가의 긴급명령
④ 사회통념, 정의, 형평의 원칙
⑤ 행정규칙

정답: ④


🧠 수험생용 요약 암기

✅ 법원 순서: 법률 → 관습법 → 조리
✅ 보충 법원: 대법원규칙, 국제조약, 헌재결정
✅ 조리 = 사회통념·형평·정의 기준
✅ 판례는 법원이 아니지만 법 해석에 영향 有
✅ 관습법도 민법의 법원 → 예: 분묘기지권, 관습상 법정지상권, 온천권
✅ 국제조약·일반 국제법규도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
✅ 헌재 결정도 위헌 판단 통해 민법 해석에 영향 가능
✅ 대법원규칙은 직접 법원은 아니지만 보충 법원적 지위 인정
✅ 대통령의 긴급명령은 한시적 효력 → 일반 법원, 민법의 법원은 안됨

 

 

 

로켓배송으로 빠르게, 로켓와우 멤버십으로 할인과 무료 반품까지 | 쿠팡

쿠팡 로켓배송, 로켓프레시, 로켓직구, 로켓럭셔리까지 쿠팡 멤버십으로 모든 혜택을 한 번에 누려보세요. 쿠팡 로켓와우 멤버는 무료배송도 가능합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